(용인=뉴스1) 김평석 기자 = 이상일 경기 용인특례시장은 27일 반도체산업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된 평택~부발선(59.4km) 철도사업을 용인시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와 연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 노선을 용인시가 5차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반도체선(동탄~남사·이동~원삼~부발선)과도 접속하는 방향으로 정부가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택에서 이천 부발까지 이어지는 이 철도노선이 용인반도체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있는 원삼면을 경유하고, 반도체선 철도와 접속되면 두 사업의 타당성과 경제성이 높아지고, 반도체 클러스터가 철도로 연결돼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상일 시장은 “SK하이닉스가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건설 중인 첫 번째 팹(Fab)이 2027년 5월 준공될 예정”이라며 “용인·평택·이천의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일하는 근로자들과 안성시까지 포함하는 4개 도시의 시민들이 교통편의를 보다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평택~부발선 철도가 용인 원삼면을 경유하는 방향으로 신속히 건설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평택~부발선 철도사업은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돼 있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이 사업에 대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는 2021년 10월 시작돼 올해에는 마무리될 것으로 용인시는 예상하고 있다.
용인시는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와 용인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용인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등 초대형 반도체 클러스터들을 연결하는 반도체선 철도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하는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이상일 시장은 “평택~부발선이 원삼면과 연결되면 반도체선 철도의 원삼~부발 구간은 평택~부발선과 공유하게 돼 평택~부발선이나 반도체선 모두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며 “용인·화성·평택·이천시의 반도체 클러스터들이 두 개의 철도를 통해 모두 연결되므로 시너지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도체선 철도는 경기도가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하려는 ‘경기남부동서횡단선(전곡~동탄~이천 ; 총 89.4km)’의 핵심 구간인 동탄~남사·이동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이천·부발 간 40.6km, 평택~부발선 철도는 평택~안성~용인~이천 부발로 이어지는 59.4km로 계획됐다.
ad2000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