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뉴스1) 양희문 기자 = 군 단위로 유일하게 환경교육도시로 선정된 경기 양평군의 환경 정책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6일 군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해 9월 1일 양평군을 포함한 6곳을 환경교육도시로 지정했다. 환경교육도시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우수한 환경교육 기반과 실적, 계획을 보유한 지자체를 환경부가 지정하는 제도다. 군은 군 단위 지자체로는 처음으로 환경교육도시로 인정받았다.
군은 환경교육도시 지정 이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환경교육국을 신설하고, 탄소중립지원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탄소중립지원센터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 기후위기 대응기반 강화 대책 등을 연구한다. 군은 오는 6월 관련 조례를 개정해 센터 운영을 위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2027년 문을 열겠다는 계획이다.
일회용품 없는 정책도 시행하고 있다. 군은 지난해 용문산 산나물 축제, 밀 축제 등 다양한 지역 행사에 다회용품 16만8000개를 지원했다. 이를 통해 연간 9.2tco2(이산화탄소 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는 23개 축제에 60만 개 다회용기를 보급해 32.8tco2를 감축할 방침이다.
군은 군청 내 일회용컵 사용도 전면 금지하고 다회용컵 사용을 의무화했다. 공공기관부터 변화의 바람을 일으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데 앞장서고 솔선수범하겠다는 이유에서다. 또 다회용기 자체 세척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올해 말 준공 예정인 다회용기 세척장은 매일 2만 개의 다회용기·다회용 앞치마를 세척해 환경보호와 지속 가능한 소비문화 확산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군은 기대한다.

군의 환경보호 관련 주민 체감형 교육도 눈길을 끈다. 주민들은 자원순환센터에 방문해 전문 강사와 함께 쓰레기 처리과정 등을 탐방하며 쓰레기 배출에 대한 경각심과 자원순환의 중요성을 배우고 있다. 올해는 연간 63회 진행되던 교육 횟수를 90회까지 늘려 2200여 명의 주민들에게 해당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농업에서도 환경 정책이 잘 드러난다. 친환경농업특구인 군은 농업분야에서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저탄소 농업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저탄소 농업 벼 재배 프로그램 시범사업으로, 이 사업은 논의 물을 말려 기존 물을 가둘 때 생기는 메탄가스를 방지하는 친환경 농업방식이다.
전진선 군수는 "환경 관련 정책과 시설, 생산 지원을 강화해 미래 환경 정책을 선도하는 대한민국 최고 환경도시 양평을 목표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yhm9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