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뉴스1) 강미영 기자 = 경남 산청·하동 대형산불이 열흘 만에 주불이 꺼진 가운데 박완수 경남지사가 정부에 산불 대응 제도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박 지사는 산사태 등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피해지 긴급 진단과 벌채, 피해지역 특성에 맞는 연차별 조림 복원 등 산림피해 복구대책을 30일 밝혔다.
이어 이번 산불 대응 진화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했다.
먼저 민간 헬기 이착륙 허가 절차 간소화를 제안했다.
박 지사는 "특별재난지역 등 긴급 상황에서는 민간 헬기도 사전 허가 없이 즉각 투입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남에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을 건의했다.
그는 "경남은 남부권 중심이자 지리산과 직접 연결된 지역"이라며 "산불방지센터를 통해 예방·진화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장비와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은 지자체 전문 진화대와 산림청 특수진화대의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특히 야간에는 헬기 투입이 어려워 진화에 큰 제약이 있었던 만큼, 열화상 드론, 이동형 고출력 LED 조명타워, 휴대용 서치라이트 등 야간 진화를 위한 전문 장비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경남도는 산불 재발화에 대비해 주야간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고 산불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투입 자원은 공중․특수진화대, 소방, 공무원 등 350여 명의 인력과 헬기 40대, 진화차 79대다.
또 청명, 한식을 앞두고 비상근무체계를 가동하는 한편 주요 산림지역과 등산로 입산금지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박 지사는 "산림 인접 지역에서의 화기 사용과 논·밭두렁 및 폐기물 소각은 절대 삼가기를 바란다"고 거듭 요청했다.
myk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