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일 "민간 협업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일경험 기회를 4만 8000명에서 5만 8000명까지 확대하고 청년들이 빈일자리 업종(구인난 업종)에 취업할 경우 근속 인센티브를 신설하는 등 일하는 청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DMC타워에서 제15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청년정책 시행계획 등 6개 안건을 논의했다.
2025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은 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 참여·권리 등 5개 분야에서 339개 과제, 28조 원의 사업을 포함하고 있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중앙부처(5000명) 및 공공기관(2만 1000명) 청년인턴 선발, 민관 협업 일경험은 4만 8000명에서 5만 8000명으로 확대를 추진한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서는 대학 졸업 후 '쉬는 청년'을 찾아 미취업 졸업생 특화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청년도전지원사업 확대 및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급 사업도 추진한다.
창업중심대학을 9개에서 11개로 확대하고, 600억 원 규모의 청년창업펀드를 조성하며, 청년창업기업의 지자체 수의계약 허용금액도 200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상향하는 것 등을 추진한다.
주거 분야에서는 공공분양주택·공공임대주택 등 총 11만 7000호를 청년들에게 공급한다.
청년주택드림대출로 분양가 80%까지 장기·저리로 지원하거나 청년 대상 전세대출을 버팀목대출로 통합하면서 대출한도를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교육 분야에서는 대학생 국가장학금 수혜대상을 8구간에 9구간 이하로 확대하고 이공계 석·박사 5만여 명에 대한 연구생활장려금 신설 등을 추진한다.
생활·복지 분야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 확대, 장병내일준비적금 연계 매칭 지원금 확대 등이 이뤄진다.
또 정부는 아동복지시설에서 18세가 돼 퇴소하게 되는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한 지원정책 사각지대 해소 및 유사시설 퇴소청년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청년들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인턴십 및 취·창업 등의 지원에도 나선다.
올해 청년 소통의 장인 '대한민국 청년총회'도 전국 주요 권역별로 개최된다. 청년위원을 위촉 대상으로 하는 정부위원회도 기존 221개에서 227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 권한대행은 "앞으로도 청년이 원하는 정책, 청년의 꿈을 이루기 위한 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위원회 개최에 앞서 청년정책조정위 민간위원으로 선발된 청년위원 및 청년정책 전문가에게 위촉장 수여식도 가졌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정부위원으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이 자리했다. 민간위원으로는 이영 민간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lgir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