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파이낸싱 차질 빚을라"…홈플러스 사태, 유통업계 금융경색 '우려'

"경쟁사 반사이익은 일시적…부정적 영향 더 커"
자금 상환 위한 대출, 채권 발행 등에 난항 전망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홈플러스 영등포점 모습. 2025.3.4/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홈플러스 영등포점 모습. 2025.3.4/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서울=뉴스1) 윤수희 기자 = 홈플러스 사태로 경쟁사인 이마트, 롯데마트의 반사이익이 예상된다는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유통업계는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금융시장이 경색되면서 리파이낸싱 등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마트 반사이익?…업계 "부정적 영향 더 클 것" 우려

11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 시장 1위 이마트와 2위 홈플러스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25%, 24%로 추정된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개시하자 이마트의 주가는 장중 8만8000원까지 오르면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지난해 말 6만 원대이던 주가가 50% 가까이 급등한 것이다.

경쟁사인 홈플러스가 부진한 사이 이마트가 치고 올라올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업계는 홈플러스 사태로 인한 경쟁사의 반사이익은 단기적인 현상일뿐, 장기적으로 볼 때 유통업계에 끼치는 영향은 긍정적이기보다 오히려 부정적인 측면이 더 크다고 지적한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홈플러스 사태가 이마트나 롯데마트 등 유통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는데 일시적인 현상"이라며 "전체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업계는 홈플러스의 금융채무가 동결되며 따라오는 연쇄 작용으로 금융시장이 경색되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짚는다.

홈플러스 외에 다른 여러 업체들도 채권 만기가 도래하면 자금을 상환하기 위해 금융권으로부터 다시 대출을 받거나 채권을 발행하는 리파이낸싱을 진행한다.

집객력을 키우기 위해 출혈 경쟁에 가까운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신규 점포 출점 및 기존 점포 리뉴얼 등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선 번 돈을 다시 투자하고 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건 필수에 가깝다.

본문 이미지 - 사진은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홈플러스 영등포점 모습. 2025.3.4/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사진은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홈플러스 영등포점 모습. 2025.3.4/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업계 전망 밝지 않은데"…금융시장 경색되면 리파이낸싱 우려

하지만 국내 기업의 회사채, 기업어음(CP) 등의 등급을 정하는 신용평가사들은 e커머스로 소비 채널이 옮겨가는 전체적인 경향으로 볼 때 오프라인 유통기업의 경쟁력이 점차 떨어질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일례로 한국신용평가는 지난달 이마트의 회사채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하기로 결정하면서도 "주력인 대형마트는 온라인, 근거리 구매 등 변화된 가계 소비 행태 등으로 업태 매력이 저하 추세에 있다"며 "영업 현금창출력을 개선하기 쉽지 않은 상황으로, 점포 리뉴얼 및 효율화 등에 따른 투자 부담이 지속될 예정"이라고 했다.

그런데 여기에 홈플러스 사태까지 발생하면서 리스크 관리에 민감한 금융권이 유통업체들의 이자 비용을 올리는 등 자금 융통의 장벽을 높인다면 사업 추진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대금 정산을 받아야 하는 협력업체들이 연이어 피해를 볼 수도 있다.

특히 롯데그룹은 롯데케미칼이 지난해 10월 2조 원 규모의 회사채 조기 상환 위기를 맞으며 불거진 '유동성 위기설'를 무마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이다.

롯데쇼핑이 15년 만에 토지 자산 재평가에 나서고 롯데렌탈을 매각하는 등 재무전건성을 높이는 데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자금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기 위해서다. 그런데 홈플러스 사태로 금융시장이 얼어붙는다면 비핵심 사업·자산 매각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리스트럭처링 작업은 힘이 빠질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돈 빌려주는 기준이 높아질수록 업체들에 피해가 간다"며 "대기업은 물론 작은 업체들도 이율을 0.5%만 올려도 큰 손실을 보게 된다. 스타트업 등의 투자 역시 힘들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ysh@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