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문혜원 기자 = 우리은행은 4일 "달러·원 환율은 비상계엄 충격 후폭풍이 야기할 원화자산 포지션 축소 여파에 급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이날 "밤사이 달러·원 환율 추이를 되짚어 보면 비상계엄 선포(1420원 중반), 국회 폐쇄(1440원 중반), 국회 해제요구안 가결(1410원 후반), 윤석열 대통령 무응답(1430원), 국회 요구 수용 및 비상계엄 해제(1410원 후반) 순으로 움직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원화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악화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민 연구원은 "이번 사태로 향후 한국 정국 불안이 확대되면서 코스피, 한국 국고채 등 원화자산에 대한 투심이 악화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된다"며 "이날 장중 외국인 자금 매도세가 본격적으로 확인될 경우 달러·원 환율 상방 변동성을 자극할 수 있다"고 했다.
아울러 "당국이 금융시장 안정을 약속했지만 최근 비슷한 이슈가 부각됐던 프랑스 케이스에 비춰봤을 때 원화에 닥칠 비상계엄 후폭풍을 성공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짚었다.
그는 "원화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가장 취약한 모습을 드러내는 특성을 지닌 만큼 역내와 역외를 가리지 않고 달러 선호도가 높아질 확률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또 "1410원 중반에서 갭업(장 마감부터 다음 날 장 시작하는 사이 환율 상승) 출발 후 주식 및 채권시장 외국인 포지션 축소, 역내외 저가 매수 유입에 상승압력이 우위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달러·원 환율은 이날 오전 2시 1425.0원에 마감했다. 전날 주간 거래 종가(3일 오후 3시 30분 기준) 1402.9원 대비 22.1원 오른 수준이다.
doo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