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도엽 문혜원 기자 =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인용하면서 환율이 일시적으로 크게 출렁였다. 여기에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 내 '경기 침체 우려'가 고조돼 달러화도 약세를 보이며 환율이 하루 사이에 30원 넘게 내렸다.
4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달러·원 환율은 종가 기준 전 거래일인 1467.0원 대비 32.9원 떨어진 1434.1원에 마감했다. 전날 종가 대비 30원 넘게 차이가 난 건 지난 2022년 11월 11일(-59.1원) 이후 처음이다.
아울러 주간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 환율이 1430원대에 마감한 것은 지난 2월 26일(1433.1원) 이후 한 달여 만에 처음이다.
이날 환율은 장 초반 후 꾸준히 하락해 오전 11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 직전에는 1430원 초반대까지 떨어졌다.
특히 오전 11시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선고 요지를 낭독하는 도중 파면 결정 가능성이 커지자, 일시적으로 1430.2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는 전날 종가 대비 36.8원 떨어진 수준인데, 지난 2022년 11월 11일(-65원) 이후 전날 종가 대비 당일 저가 차이가 가장 컸다.
다만 파면 결정 이후에는 다시 낙폭이 축소됐다. 주문(오전 11시 22분) 직후인 11시 25분 기준으로는 1443원대까지 상승했다.
앞선 대통령의 탄핵 선고 당일에는 고가·저가 환율 변동 폭이 이날만큼은 크지 않았다. 지난 2004년 5월 14일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선고 당일 환율 변동 폭은 6.7원, 2007년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7.2원 수준이다.
문다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로 정국 불안이 해소되며 일시적으로 강한 원화 반등 압력을 보였다"며 "다만 달러화 반등 가능성이 높고, 국내 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추세적 강세는 이어나가기 어려워 급락 이후 일부 되돌림에 무게를 둔다"고 했다.
환율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 관세 부과'에 따른 미국 경기침체 우려 영향도 함께 받았다.
주간으로 발표되는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90만 3000건으로, 전주 대비 5만 건 급증했고 예상치(186만 건) 대비로도 큰 폭으로 상회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하는 PMI는 50.8로 예상치(53.0)를 크게 하회했다.
이를 반영한 환율도 전날 종가 대비 16.5원 떨어진 1450.5원에 출발했다. 미국 경기 둔화 우려에 따라 안전자산인 달러화의 위상에 대한 의구심이 반영된 것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번 상호 관세로 인한 경제 충격이 글로벌경제의 신용리스크 등으로 확산되기 보다는 미국 경제의 자충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doyeop@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