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갈등에 비트코인 8.3만→7.8만달러…CPI도 못 막았다[코인브리핑]

美 "중국에 부과한 관세는 125% 아닌 145%" 강조…CPI는 시장 예상 하회
미국서 가상자산 결제 합법화 법안 발의…토큰화 금 시총 20억달러 근접

본문 이미지 - ⓒ 뉴스1
ⓒ 뉴스1

미중 무역갈등에 비트코인 8.3만→7.8만달러…CPI도 못 막았다

(서울=뉴스1) 최재헌 기자 = 미중 무역 갈등 여파로 비트코인(BTC) 가격이 7만8000달러 선까지 하락했다.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의 예상보다 낮게 발표됐지만 가상자산 시장은 하락장을 피하지 못했다.

11일 오전 10시 빗썸 기준 국내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 같은 시간보다 2.56% 하락한 1억1809만5000원이다.

같은 시간 코인마켓캡 기준 해외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 같은 시간보다 4.01% 내린 7만9045달러를 기록했다.

전날 8만3000달러로 반등한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한때 7만8707달러까지 급락했다.

비트코인이 하락한 이유는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때문이다.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져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확대한 것이다.

10일(현지시간)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은 중국에 적용한 관세율의 합계가 기존에 알려진 125%보다 높은 145%라고 재차 확인했다.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상호관세율(125%)에 더해 지난 2월부터 합성 마약 펜타닐 관리 소홀 등으로 부과한 20%의 관세를 더하면 총 145%라는 얘기다.

백악관 관계자는 "145%가 현재 중국산 상품에 대한 정확한 관세율"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미국 CPI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지만 가상자산 시장의 하락은 막지 못했다. 보통 CPI가 시장의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커져 위험자산 가격이 상승한다.

이날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미국 CPI가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고 밝혔다. 시장 예상치인 2.6% 상승률보다 낮은 수치다.

가격 변동이 큰 식품·에너지 등을 제외한 근원 CPI도 전년 대비 2.8%, 전월 대비 0.1% 오르며 시장의 예상치를 하회했다.

美 SEC, 토큰 발행사에 상세 공시 권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토큰 발행사에 토큰 관련 정보를 상세하게 공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10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SEC는 증권으로 간주할 수 있는 토큰을 발행·거래하는 기업은 토큰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공개해야 한다는 지침을 발표했다. 해당 발표는 법적 구속력이 없다.

지침에 따르면 기업들은 사업 과정에서 토큰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공시해야 한다. 다만 SEC는 가상자산 증권성 판단 기준에 대해선 자세히 밝히지 않았다.

美, 가상자산 결제 합법화 법안 발의

미국에서 가상자산 결제와 세금 납부를 합법화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10일(현지시간) 외신 등에 따르면 닐 잭슨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의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디지털자산 자유법'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일정한 기준을 충족한 가상자산을 결제·세금 납부 수단으로 인정하는 내용을 담았다.

결제와 세금 납부 수단으로 인정되려면 △시가총액 7500달러 이상 △일 거래량 100억 달러 이상 △작업증명(PoS) 네트워크 △최대 공급량 제한 등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토큰화 금 시총 20억달러 기록…"안전자산으로 부상"

글로벌 무역 갈등으로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커지며 토큰화 금 시총이 약 20억달러까지 늘었다.

10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토큰화 금의 시총은 전날 약 20억달러 근접했다. 하루 동안 약 6% 상승한 수치다.

가상자산 거래소 CEX.IO의 알렉산드르 케리아 임원은 "금 현물과 함께 토큰화 금의 가격·거래량이 상승했다"며 "지정학적 긴장이 높아지며 토큰화 금이 안전자산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chsn12@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