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최재헌 기자 = 스마트폰 등 20개 전자기기에 대한 관세 면제를 발표한 미국이 '상호 관세 면제'는 아니라는 입장을 밝히며 비트코인(BTC)이 출렁이고 있다. 미국의 관세 정책에 혼선이 생기자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도 커진 모습이다.
14일 오전 9시 38분 빗썸 기준 국내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 같은 시간보다 0.43% 상승한 1억2270만9000원이다.
같은 시간 코인마켓캡 기준 해외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 같은 시간보다 0.51% 하락한 8만4559달러를 기록했다.
전날 8만5000달러 선에서 거래되던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8만3044달러까지 떨어졌다. 이후 하락분을 회복해 8만4000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상호관세 부과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혼선이 생기며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커진 모습이다.
지난 11일(현지시간)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관세국경보호국은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반도체 장비 등 20개 품목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무역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돼 비트코인은 지난 주말 동안 8만5778달러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면제를 부인하면서 비트코인은 다시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금요일에 발표된 관세 예외는 없다"며 "아무도 미국에 가한 불공정한 무역 수지와 비화폐 관세 장벽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말했다.
같은 날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도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일부 전자 제품이 상호관세에서 빠진 건 별도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것"이라며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를 한두 달 내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최근 가격이 폭락한 레이어1 블록체인 만트라(OM)가 '러그풀' 의혹을 부인했다.
JP멀린 만트라 최고경영자(CEO)는 13일(현지시간) X(옛 트위터)를 통해 "OM 가격 급락은 대규모 강제 청산으로 발생했다"며 "우리는 도망가지 않으며 자체 물량도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만트라 가격은 6.3달러에서 0.5달러 아래로 급격히 떨어지며 시가총액이 90% 이상 증발한 바 있다. 일각에선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서비스를 중단하고 투자금을 가로채는 '러그풀'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마크 우예다 미국 SEC 위원장 직무대행이 블록체인 시장의 혁신을 위해 토큰 증권(ST) 기업에 규제 샌드박스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우예다 대행은 SEC 산하 가상자산 태크스포스(TF) 원탁회의에서 "가상자산 규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 동안 시장 혁신을 위해 가상자산 규제 샌드박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SEC가 장기적으로 제도를 마련하는 동안 토큰 증권 거래 기업을 대상으로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하면 블록체인 기술에 더 큰 혁신이 일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원탁회의는 가상자산 트레이딩 규제에 대한 내용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인 5명 중 1명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현지시간) 가상자산 전문 매체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미국 성인 5명 중 1명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이번 설문은 미국 가상자산 협회가 미국인 5만30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21%는 가상자산을 보유 중이었다. 투자자 대부분(67%)은 45세 미만이었으며 55세 이상도 15%에 달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67%)이 여성(31%)보다 많았으며, 투자자의 76%는 가상자산 투자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chsn12@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