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페이지

박주평 기자
박주평 기자
산업1부
美 반도체 관세 임박…TSMC 2Q 전망에 업계 '이목 집중'

美 반도체 관세 임박…TSMC 2Q 전망에 업계 '이목 집중'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오는 17일 어떤 실적 전망을 내놓을 것인지에 반도체 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국발 관세 전쟁이 반도체 업계에 미칠 영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힌트가 될 전망이다.TSMC 1분기 순이익, 15조…전년比 54% 증가 전망16일 로이터 등에 따르면 TSMC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54% 급증한 3478억 대만달러(약 107억4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LS에코에너지, 필리핀 태양광 발전단지에 전력 케이블 공급 완료

LS에코에너지, 필리핀 태양광 발전단지에 전력 케이블 공급 완료

LS에코에너지는 베트남 생산법인 LS-VINA가 필리핀 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에 전력 케이블 공급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LS에코에너지는 필리핀 주요 발전사들이 루손섬 서부 잠발레스주에 공동 추진 중인 346㎿급 태양광 발전단지에 전력 케이블을 공급했다.루손섬은 수도 마닐라를 포함한 필리핀 전력 수요의 중심지이자, 에너지 인프라 기업들의 거점이다. 특히 수빅만을 중심으로 '에너지 수출입 항만권'이 형성된 지역으로, 향후 재생에너지 자원의 유
LS일렉트릭, 美 생산시설 준공…현지화로 관세 리스크 돌파

LS일렉트릭, 美 생산시설 준공…현지화로 관세 리스크 돌파

LS일렉트릭(010120)이 미국 텍사스주에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북미 전력시장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전력사업 전략 제품을 현지 생산해 상호관세 리스크를 해소한다는 계획이다.LS일렉트릭은 지난 14일(현지시간) 텍사스주 배스트럽시에 생산과 연구, 설계 등 북미 사업 지원 복합 캠퍼스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이날 준공식에는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과 존 커클랜드 배스트럽 시장 등 LS일렉트릭과 텍
LG전자, 내달 인도 3공장 착공…'국민 브랜드' 박차 가한다

LG전자, 내달 인도 3공장 착공…'국민 브랜드' 박차 가한다

LG전자(066570)가 다음 달 인도에 세 번째 가전 공장을 착공할 예정이다. LG전자는 인도 법인 상장과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인도 '국민 브랜드'로 자리 잡는다는 계획이다.15일 인도 현지 언론에 따르면 LG전자는 다음 달 안드라프라데시주에 대규모 가전 공장을 착공한다.이 공장에서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TV, 열교환기, 압축기 및 기타 구성품 등 LG전자 8개 제품이 생산될 예정이다.공장이 완공되면 1495개의 직접 일자리 외 다
PC·모바일 1Q 성장에도 '관세 전쟁'에 전망 악화…K메모리 악영향

PC·모바일 1Q 성장에도 '관세 전쟁'에 전망 악화…K메모리 악영향

올해 1분기 PC와 모바일 시장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에 연간 전망치는 일제히 하향 조정되고 있다. PC, 모바일 등 완제품 수요가 둔화하면 국내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스마트폰 판매량 1분기 3%↑…"무역전쟁 위험, 연간 역성장"15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보다 3% 증가했다.애플이
LG, '찾아가는 AI 랩' 시작…교실에서 생생한 AI 체험

LG, '찾아가는 AI 랩' 시작…교실에서 생생한 AI 체험

LG(003550)는 지난 8일 경남 진주시 반성중학교에서 올해 첫 '찾아가는 인공지능(AI) 랩'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LG는 청소년들이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국내 최초 체험형 AI 교육 기관인 'LG디스커버리랩'을 서울과 부산에 개관해 운영하고 있다.LG는 찾아가는 AI 랩을 올해 정식 프로그램으로 전환해 청소년들 누구나 LG디스커버리랩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올해 반성중학교를 시작으로
한숨 돌렸더니 품목 관세…디스플레이도 美 공장 지으라고?

한숨 돌렸더니 품목 관세…디스플레이도 美 공장 지으라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상호관세에서 제외된 스마트폰, PC 등 전자제품과 부품에 대해 반도체와 같은 품목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전자 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특히 미국 내에서 생산해야 할 품목으로 디스플레이를 콕 집어 언급하면서 셈법이 복잡해졌다. 미국에 디스플레이 공장을 건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트럼프 행정부가 곧 발표할 구체적인 내용을 지켜본 뒤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美 "디스플레이도 반도체 관세…자국 내 생산해야"하워드
'미래 먹거리'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키운다…협회 추진단 출범

'미래 먹거리'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키운다…협회 추진단 출범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생태계 구축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협회 내 '무기발광 사업 추진단'(이하 추진단)'을 설치했다고 14일 밝혔다.협회가 약 8년간 운영하는 추진단 사업은 올해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연구·개발(R&D 사업) 전반에 걸쳐 △과제 간 연계와 시너지 극대화 △기술성과 확산 △공급망 구축 전략 수립을 총괄하는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R&D와 인프라 구축 전체를
LG전자, GM '올해의 공급사' 선정…SDV 설루션 기술력 '인정'

LG전자, GM '올해의 공급사' 선정…SDV 설루션 기술력 '인정'

LG전자(066570)는 최근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열린 제너럴 모터스(GM)의 '제33회 올해의 공급사 시상식'에서 '최우수 크리에이티비티 팀'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혁신적인 전장부품 설루션을 공급해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와 연결성을 새롭게 정의한 공로다.GM은 매년 구매·엔지니어링·품질·제조·물류 분야의 공급사 성과를 평가해 GM의 사업 성과뿐 아니라 핵심 가치와 비전을 구현하는 데 기여한 회사를 '올해의 공급사'로 선정한다.LG전자는
구글 차세대 TPU, HBM 용량 6배…AI 경쟁 SK하닉·삼성전자 '미소'

구글 차세대 TPU, HBM 용량 6배…AI 경쟁 SK하닉·삼성전자 '미소'

구글이 인공지능(AI) 추론에 특화된 차세대 '텐서 프로세싱 유닛'(TPU)을 공개하면서 AI 반도체 경쟁에 불을 지폈다. 이전 세대보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용량을 6배, 대역폭을 4.5배 늘려 HBM을 공급하는 SK하이닉스(000660), 삼성전자(005930) 등 국내 메모리 기업들은 수요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11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 클라우드는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한 연례 콘퍼런스 '넥스트
많이 본 뉴스1/2
많이 본 뉴스1/1
많이 본 뉴스1/2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