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생태계 구축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협회 내 '무기발광 사업 추진단'(이하 추진단)'을 설치했다고 14일 밝혔다.
협회가 약 8년간 운영하는 추진단 사업은 올해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연구·개발(R&D 사업) 전반에 걸쳐 △과제 간 연계와 시너지 극대화 △기술성과 확산 △공급망 구축 전략 수립을 총괄하는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R&D와 인프라 구축 전체를 지휘하는 사업이다.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과 생태계 지원에는 2032년까지 정부출연금 3479억 원이 투입되고, 추진단 사업비는 45억 5000만 원이다.
마이크로LED로 대표되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보다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소자 자체의 수명도 길다. 가상현실(XR)기기, 스마트워치, 프리미엄TV, 사이니지 등 응용처가 확대되고 있어 2035년 320억 달러(약 47조 원) 규모로 성장이 전망되는 신시장 먹거리 기술이다.
한국 무기발광 산업은 핵심 부품과 제조공정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자립형 공급망 구축을 비롯해 빠른 시장 진입이 예측되는 소형제품향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산업부는 이번 무기발광 사업 선정을 통해 △에피성장 △칩 전사·접합 △증강현실(AR)·XR 고해상도 디바이스 구현 △인프라 구축 등 초기 시장에서 주도권을 선점할 수 있는 핵심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추진단에서는 기술 간 조율, 정책 연계, 산업 트렌드 분석, 수요-공급기업 네트워킹 등 R&D 전 생애주기를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촘촘한 산업 생태계 초석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협회는 'OLED 토종 강국'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해 초격차 R&D 사업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현재 한국이 독보적 시장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중소형 OLED 분야도 올해 이후 생산능력이 중국이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상되어 대응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극한환경적용 모빌리티 OLED, △XR디바이스용 OLEDoS, △OLED 기반 초실감 라이트필드 등 자동차·메타버스와 같은 미래 신산업 시장 진입장벽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지원을 추진한다.
또 기존 OLED의 한계를 뛰어넘는 초박막 고신뢰 소자구조 구현, 차세대 대면적 플렉서블 패널 설계, 고부가 OLED 응용기술 등 초격차 기술을 확보해 중국의 추격을 따돌린다는 전략이다.
jup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