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뉴스1) 김평석 기자 = 한강유역환경청은 한강수계 지자체 수질오염총량 담당자를 대상으로 제도의 이해도를 높이고 기관 간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두 달간 기술지원을 했다고 1일 밝혔다.
한강청은 지난 9월~10월 서울시 등 17개 지자체를 찾아가 지역개발사업 오염 부하량 산정, 시행계획 이행평가 보고서 작성 등 수질오염총량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기술지원을 1:1 맞춤형으로 진행했다.
지난달 16일에는 남한강으로 유입되는 청미천과 복하천의 목표수질 달성을 위해 한강청,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환경보전협회가 합동으로 이천·여주시 등 6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합동 기술지원과 간담회를 가졌다.
한강청은 내년에도 지금까지 진행한 전반적인 기술지원에 더해 단위유역의 수질 현황과 목표 달성 정도를 공유하고 관계기관 간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간담회를 병행할 계획이다.
수질오염총량제는 수계의 목표수질을 정하고 이를 달성·유지할 수 있는 해당 유역의 오염물질 총량을 설정해 관리하는 제도다. 지방자치단체는 배출량을 줄인 만큼 개발에 필요한 배출량을 확보할 수 있어, 보전과 개발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한강수계에서는 2013년 6월부터 수도권지역에서 수질오염총량제를 본격 시행되고 있다. 2021년부터는 강원과 충북을 포함한 한강수계 전 지역에서 2단계 수질오염총량제가 시행 중이다.
김동구 한강청장은 “내년에도 목표수질 달성을 위한 관계기관 통합 기술지원과 1:1 맞춤형 지원을 병행할 계획”이라며 “지자체 요청이 있으면 어디든 방문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ad2000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