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권형진 기자 = '의과대학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공동 회장을 맡고 있는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24일 '의대생 복귀' 기준에 대해 "통상적으로, 국민 눈높이도 과반은 돼야 정상적 교육이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양 회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인근에서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신임 회장단 간담회에서 "대학에서 정할 문제라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달부터 대교협 회장 임기를 시작한 양 회장은 이해우 동아대 총장과 함께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모임인 의총협 공동회장도 맡고 있다.
의총협은 앞서 의대생이 이달까지 복귀하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했고, 정부가 7일 이를 수용했다. 이와 관련 의총협은 19일 "학생 복귀 기준은 대학별로 통상적인 수준에서 학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돼 수업이 가능한 수준을 말한다"고 했는데, 절반가량 복귀하면 수업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다만 양 회장은 복귀 시한까지 등록하지 않은 의대생에 대해서는 "모든 40개 의대가 원칙대로 학칙을 적용하겠다는 것을 여러 번 확인했다"며 "학칙에 따라 원칙대로 간다는 걸 확고하게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학교마다 복귀 시한까지 돌아오지 않는 미등록 인원이 다를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31일 정도에 의총협 회의를 해 결정할 사항"이라면서도 "대학마다 학칙도 다르고, 생각도 다르지만 40개 대학 총장이 의대 문제 해결을 위해 원칙대로 함께 대응한다는 것에는 추호의 흔들림이 없다"고 강조했다.
일부 대학에서는 제적으로 결원이 생기면 편입학으로 보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 회장은 그러나 "31일까지는 의대생 복귀를 설득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며 "이번 주까지는 편입학 등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달 말까지를 복귀 시한으로 정했지만 고려대, 연세대, 경북대 등 5개 대학이 21일 복귀 신청을 마감한 결과 절반 정도만 등록했다. 절반가량은 여전히 복귀하지 않은 셈이다.
양 회장은 "의대생들이 본인만 돌아왔을 경우 전체 의대 사회에서 고립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제일 큰 것 같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의대의 중심은 교수이고, 그 학생들을 끝까지 보호할 것"이라며 "다른 선배들, 의협에 있는 분보다 의대 교수들을 믿고, 그 두려움을 떨쳐버리고 꼭 좀 돌아오기를 간곡하게 호소한다"고 말했다.
일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의대생을 제적 조치하면 수업을 거부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양 회장은 "비대위에 들어간 분들은 많지 않고,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설득에 나서는 대다수 교수의 말이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양 회장은 "학생들이 총장, 교수들이 정부 편이라고 하는데 학생 편"이라며 "돌아와서 공부하면서 얼마든지 의대생들이 요구하는 사안은 총장들이 앞장서서 해결한다는 말을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jinn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