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째 동결된 KTX 요금…'구멍' 난 코레일 곳간 언제 채우나

수익 늘어도 '적자', 5조 투입 KTX 노후 차량 교체도 '빨간불'
코레일 "요금 인상 없이는 '미래 없다'"…국민 이해 '절실'

한문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이 25일 대전사옥에서 열린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 초청 간담회에서 기자들 질문에 답을 하고 있다.(한국철도공사 제공)
한문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이 25일 대전사옥에서 열린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 초청 간담회에서 기자들 질문에 답을 하고 있다.(한국철도공사 제공)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한문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이 KTX 요금 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14년째 동결된 KTX 요금으로는 안전 투자를 위한 재원 마련이 더 이상 어렵다는 절박한 심정을 토로한 것이다.

한 사장은 25일 대전사옥에서 열린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 초청 간담회에서 "14년째 동결된 철도운임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 사장은 '지금이 아니면 안 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KTX 요금 인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최근 언론에서 언급된 25% 인상률에 대해서는 "KTX 대체차량 구입비용에서 나온 외부 교수님의 의견일 뿐, 코레일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며 선을 그었다. 다만 코레일은 올해 업무계획에서 17% 수준의 요금 인상을 검토했다.

한 사장은 "2011년 대비 소비자물가지수는 27%, 고속버스 21%, 항공 23% 상승했지만, KTX 요금은 14년째 동결"이라며 "최저임금은 128.2%나 상승하는 등 원가 상승 요인이 컸음에도 요금을 올리지 못해 어려움이 크다"고 토로했다.

이어 "안전을 최우선 경영 가치로 삼아 철도 운영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해왔다"면서도 "지난해 KTX 수익이 최대치를 경신했음에도 영업손익은 1114억 원 적자, 부채비율은 265%에 달한다"고 코레일의 재정 상황이 녹록지 않음을 전했다. 누적 부채 21조 원에 따른 이자비용만 하루 11억 원에 달하고, 전기요금 부담 또한 가중되고 있어 재무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본문 이미지 - 설 명절을 앞둔 17일 오후 경기 고양시 덕양구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에서 직원들이 KTX 열차와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코레일은 설 대수송 기간 안전한 운행을 위해 전국 철도차량의 동력 및 제동장치 등 핵심 부품을 집중 검수했다고 밝혔다. 2023.1.17/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설 명절을 앞둔 17일 오후 경기 고양시 덕양구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에서 직원들이 KTX 열차와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코레일은 설 대수송 기간 안전한 운행을 위해 전국 철도차량의 동력 및 제동장치 등 핵심 부품을 집중 검수했다고 밝혔다. 2023.1.17/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KTX 노후화, 코레일 '발등에 불'…"투자 없이는 '미래 없다'"

코레일의 가장 큰 고민은 KTX 초기 차량의 노후화다. 한 사장은 "KTX 초기 도입 차량 46편성의 교체를 위해 2027년부터 발주를 시작해야 하는데, 2033~2034년쯤 교체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비용이 약 5조 원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5조 원에 달하는 교체 비용은 코레일의 재정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코레일은 KTX 안전을 위해 투자를 멈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잇따른 KTX 사고와 지연 사태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만큼, 안전 투자를 통해 안전 운행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한 사장은 "더 이상 KTX 안전을 외면할 수 없다"며 요금 인상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코레일도 요금 인상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을 잘 알고 있다. 한 사장은 "철도운임 인상은 국민경제나 소비자물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부와 함께 진행해야 하는 만큼 관심을 갖고 지켜봐주시길 바란다"며 "힘든 상황에서도 KTX를 안정적으로 운영해 온 것처럼 앞으로도 철도 안전과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공공성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코레일은 현재 정부와 운임 인상에 대해 실무적 논의를 진행 중이다. 구체적인 인상 시기와 폭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며, 정부의 다양한 지원 방안과 함께 종합적으로 검토될 예정이다. 한 사장은 "25%는 전제 없이 순수하게 운임 인상만으로 모든 비용을 커버할 때 나오는 수치일 뿐"이라며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인상률과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joyonghu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