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뉴스1) 양상인 기자 =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제한하겠다는 파리협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전 세계적 협력과 강력한 기후변화 감축 목표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전 세계 농경지가 크게 줄고 식량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2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전해원 녹색성장대학원 교수와 페이차오가오 중국 베이징사범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파리협정의 1.5도 목표 달성이 전 세계 농경지 감소와 식량 안보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 세계를 5㎢ 단위로 나눠 농경지의 변화를 예측했다. 그 결과, 1.5도 목표 달성을 위한 기후정책이 시행될 경우 전 세계 농경지가 현재 대비 약 12.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남미 농경지가 24% 감소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분석됐으며 전체 농경지 감소의 81%는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주요 식량 수출국인 미국과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수출 능력이 각각 10%, 25%, 4% 감소해 식량 수입 의존 국가들의 식량 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전 교수는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 전략을 수립할 땐 온실가스 감축뿐 아니라 지구 생태계와 식량 안보 등 다양한 지속가능성 요소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며 "특히 개발도상국은 농경지 감소와 식량 수입 의존도 증가란 2중 부담을 겪을 수 있는 만큼 국제 협력을 통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에 게재됐다.
ysaint860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