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꿈꾸는 미래 '車=비서' 일정 브리핑·커피 주문 척척

현대차 SW '플레오스'…인공지능 글레오 AI 운전자 운행 기억
네이버, 브리핑·쇼핑 서비스…쏘카,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외 개발자들을 초청해 개발자 콘퍼런스 'Pleos 25'에서 E&E(전자·전기) 아키텍처를 공개하고 있다. Pleos Vehicle OS는 차량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운영체제로, E&E(전자·전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차량이 지속적으로 연결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기술이다. 2025.3.28/뉴스1 ⓒ News1 허경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외 개발자들을 초청해 개발자 콘퍼런스 'Pleos 25'에서 E&E(전자·전기) 아키텍처를 공개하고 있다. Pleos Vehicle OS는 차량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운영체제로, E&E(전자·전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차량이 지속적으로 연결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기술이다. 2025.3.28/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오늘의 날씨와 일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자동차를 사면 나에게도 비서가 생긴다. 목적지를 말하면 가장 빠른 길을 안내하는 것은 물론, 내가 원하는 길과 빠른 길을 비교해 운전자의 편의를 돕는다.

나의 말 한마디에 오늘 하루 일정을 브리핑하고, 목적지 인근에 있는 카페에 미리 음식을 주문할 수도 있다. 날씨가 덥거나 추울 땐 차량 탑승 전 알아서 온도도 조절해 편안한 주행을 돕는다.

현대차 SW '플레오스'…인공지능 글레오 AI 운전자 운행 기억

현대자동차그룹이 28일 발표한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브랜드 '플레오스(Pleos)' 기능이다. 플레오스는 모빌리티 디바이스가 스스로 움직이고, 스마트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실시간 데이터 분석, 개인 특화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 사용자 경험 혁신과 도시 이동성 극대화를 도모한다.

현대차그룹은 휴대폰과 유사한 이용자인터페이스(UI)가 적용된 플레오스 커넥트를 통해 자동차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거대 언어모델 기반의 생성형 인공지능, 글레오(Gleo) AI를 적용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글레오 AI는 단순한 제어 명령뿐 아니라 목적지 설정, 음악 재생 등 복합적인 요청도 한 번에 처리하며, 날씨와 교통정보 등 다양한 정보에 대한 질문에도 자연스럽게 응답할 수 있다.

이날 현장에서 재생된 시연 영상을 보면, 운전자가 "지난해 벚꽃을 보러 갔던 곳이 어디야"라고 묻자, 글레오 AI는 지난해 갔던 장소 2곳을 소개하며 운전자에게 어디로 갈지 물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를 글레오 AI의 '기억' 기능이라고 설명했다. 운전자의 주행 습관 등을 기억해 최적의 운전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운전자가 여의도공원을 지목하자 가장 빠른 길을 안내했고, 운전자가 다른 길로 가는 방법을 묻자, 자신이 제시한 제일 빠른 길과 이동시간, 교통 흐름 등을 비교하며 운전자의 선택을 기다렸다.

네이버, 브리핑·쇼핑 서비스…쏘카,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은 운전자 편의성을 높인다. 네이버앱은 비서 역할을 톡톡히 했다. "출근길 브리핑해 줘"라고 말하면 네이버 앱이 실행되면서 하루 일정을 알려준다. 오늘의 날씨뿐만 아니라 스포츠 경기에 대한 결과도 알려준다.

목적지 인근 카페에 커피를 미리 주문할 수 있고, 목적지가 식당이라면 예약도 가능하다. 여행길의 경우 휴게소를 안내하고 동승자가 선택한 맛집 경유지도 알려준다. 네이버 블로그, 카페 등의 콘텐츠를 활용해 주변 맛집도 소개하고 목적지로 선택해 길을 안내한다.

쏘카는 이용자의 프로필을 차량에 무선으로 전송, 이용자가 기존에 설정했던 냉난방 온도, 시트 등을 세팅한다. 공유자동차가 나만의 자동차가 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통해 현대차그룹 SDV 차량과 스마트 홈, 모바일 기기를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하고, AI Home 기반의 맞춤형 경험을 차량까지 확장한다.

현대차그룹은 이같은 기능을 소개하며 자동차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규정했다. 사람들의 일상에 파고든 스마트폰과 같이, 자동차 역시 사람들의 일상과 함께한다는 것이다.

송창현 현대자동차(005380)·기아(000270) AVP 본부장 사장은 "이제 차는 또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돼야 한다"며 "앞으로도 개발자, 파트너사, 지자체와 함께 개방형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pkb1@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