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모든 국가 대상…아시아, 특히 불공정"

'더티 15' 국가 부과 여부에 대해 '루머', 車관세 재고 여지에는 "아니다"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도 일축…"전쟁 발발 대비, 의약품 미국에서 생산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워싱턴=뉴스1) 류정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일(현지시간) 발표를 예고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부과 대상과 관련해 "아시아 국가를 살펴보라"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지난 30일 플로리다 팜비치에서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에어포스원(미 대통령 전용기)에서 '관세로 타격을 입을 국가가 몇 개나 되느냐', '10~15개 국가를 대상으로 하느냐'는 상화관세 관련 질문에 "기본적으로 우리가 이야기하는 모든 국가가 대상일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는 "나는 10~15개 국가에 대한 루머를 들은 적이 없다. 어느 선에서 끊는 게 아닌, 모든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를) 이야기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특히 트럼프는 "역사를 살펴보고,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 특정지역,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에 대해 무역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 살펴보라"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트럼프의 언급은 기본적으로 모든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고려하되, 중국, 베트남, 일본, 한국 등 미국의 주요 무역 적자국인 아시아 국가를 주요 타깃으로 삼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트럼프는 "군사적인 측면을 살펴보기도 한다. 누구도 우리를 공정하게 대하거나 친절하게 대했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지만, 우리는 그들에게 훨씬 더 관대하게 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오는 4월 3일부터 부과한다고 밝힌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와 관련, '자동차 제조사들로부터 연락을 받거나, 관세를 유예할 계획이 없느냐'는 질문에 "없다"라고 답했다.

트럼프는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나 국제적인 자동차 업체가 미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할 계획이라면 많은 돈을 벌 것"이라면서 "미국 이외의 지역은 그들에게 달려 있고 저는 그다지 신경 쓰지 않는다. 하지만 많은 회사들이 자동차를 제조하기 위해 미국으로 들어오고 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자동차 노동조합은 제게 환상적이다. 제가 잘 알지 못하는 숀 페인조차, 민주당 당원인 그도 나에 대해 '이 일이 마침내 일어나다니 믿을 수 없다'는 훌륭한 말을 했다"라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자동차를 제조하는 사람들은 전례 없는 돈을 벌게 될 것"이라면서 "그 외에도 컴퓨터, 반도체, 제약, 목재, 철강 등이 있다.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한 모두 잘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관세로 인한 물가상승으로 물가는 오르면서 경기는 침체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느냐는 질문에는 "몇 년 동안 들어본 적이 없는 용어로, 전혀 모르겠고, 미국은 그 어느 때보다 성공할 것"이라며 "많은 사업이 붐을 일으킬 것이다. 제조업을 미국으로 가져올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예를 들어 우리는 앞으로 의약품이 필요하다. 전쟁이 발발했을 때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의약품을 구매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라면서 "우리 스스로 만들 수 있기를 원한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우리만의 목재, 에너지를 갖고 있다. 캐나다의 에너지, 목재가 필요하지 않다"면서 "그래서 저는 미국이 황금기를 맞이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ryupd01@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