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양은하 기자 = 중국 공산당 서열 3위인 자오러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이 지난 11~13일 방북 기간 북한과 일정한 '거리 두기'를 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이재영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연구위원은 온라인시리즈 '중국 당정 대표단 방북 및 향후 북중관계 전망' 보고서에서 자오 위원장 방북 관련 북한과 중국의 관영매체 보도 내용을 비교해 이같이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중국이 이번 방북에서 발설한 메시지의 특징은 중국의 주변국 외교의 중요한 원칙인 선린 우호와 호혜적 관계 그리고 공동이익 수호를 원칙으로 북한을 대하면서 북한과는 일정한 거리 두기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자오 위원장이 김정은 총비서,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의 회담에서 주변국 외교의 기본 원칙인 '호혜관계'와 '공동 이익'을 언급했는데, 이는 북·중 관계가 특수관계보다 정상 국가 간 관계로서 중국이 중시하는 주변국 외교의 범주 안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라는 의미다.
이 연구위원은 또 이번 회담에서 반미나 반서방 연대, 다자주의 추구와 같은 내용도 언급되지 않았으며 이는 시진핑 중국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 거의 매번 협력 목표로 강조됐던 것과 대조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중국이 러시아와의 '강대국 외교'와 북한과의 '주변국 외교'를 분리해 중국에게 불리한 신냉전과 진영화 구도를 회피하려는 '이원화 전략'을 추진한다고 볼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중국에 비해 북한 관영매체는 다방면적인 교류와 협력을 확대 강화할 것과 양측의 관심사와 중요문제들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했다면서도 협력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이 연구위원은 이 대목도 "양측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협력의 방향과 내용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를 근거로 연내 북중 정상회담 가능성도 높지 않다고 봤다. 그는 "이번 방북 일정 중 중국 대표단이 양국의 최고 지도자들이 기존에 합의했던 사항을 구체적으로 이행하는 것을 시종일관 강조했다"라며 "올해 11월 미 대선을 앞둔 10월 5일 양국의 수교일 전후로 중국과 북한이 또 다른 정상회담을 통해 추가적으로 새로운 합의를 도찰할 가능성은 작다고 본다"라고 전망했다.
올해 '북중 우호의 해'를 기념해 방북한 자오 위원장은 코로나19 이후 북한을 방문한 중국 최고위급 인사다. 그 때문에 그의 이번 방북이 연내 북중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것이란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yeh2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