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시와 자치구들이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행정 실험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문서 작성 지원을 넘어 정책 기획, 실무 교육, 내부 시스템화까지 적용 분야가 빠르게 넓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이용료 지원과 활용사례 공유, 보안지침 마련 등 제도적 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자치구들은 실무 중심의 도입과 실험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GPT 활용 공무원을 570명까지 확대 지원하고 있다. 문서 작성, 기획서 초안, 자료 분석, 코딩 자동화 등 다양한 업무에서 AI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일부 부서는 GPT의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활용해 내부 규정이나 업무 Q&A를 학습시킨 '맞춤형 챗봇'을 운영 중이다. 보고서 작성 가이드를 자동화하거나, 부서별 응대 시간을 줄이는 데 활용되고 있다.
자치구도 속속들이 AI를 활용한 업무에 나섰다.
금천구는 챗GPT 팀 계정을 부서 단위로 도입해 실무에 본격 적용하고 있다. 해당 계정은 대화 내용이 학습에 반영되지 않아 보안성이 높고, 조직 내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주요 활용 분야는 보고서, 발표 자료, 이미지 제작 등 정형화된 행정 콘텐츠 중심이다.
실습 중심의 생성형 AI 교육도 이달부터 7월까지 총 23회 일정으로 진행된다. 약 370명의 직원이 순차적으로 참여하며, 공문서 작성 실습은 물론 PPT 자동 생성, 이미지 편집, 프롬프트 작성 기법 등 실무형 교육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우수 활용 사례에는 인센티브도 지급될 예정이다.
광진구는 GPT를 활용한 기획서 초안 작성 시스템 '좋은친구 G팀장'을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다. 사용자가 사업 개요를 입력하면 GPT가 문답형 방식으로 세부 내용을 구성하며, 작성된 문서에는 AI 사용 여부를 명시하도록 했다. 문서 품질과 작성 시간 단축 효과 등을 분석해 향후 확대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강남구는 조직 차원의 전략적 접근을 택했다. '2025 AI 강남행정 종합계획'에 따라 총 31개 AI 기반 사업을 수립했으며, GPT 활용 외에도 업무 자동화(RPA), 실무 교육, 내부 보안 가이드 운영 등이 포함된다.
전 직원 대상 모바일 기반 자가학습, AI 동아리, 경진대회 등도 운영 중이며, 행정뿐 아니라 복지, 공원관리, 안전 등 분야별로도 AI 도입이 확산하고 있다. 추진 현황은 분기별로 점검된다.
다만 GPT 도입과 함께 보안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최근 중국발 생성형 AI '딥시크(DeepSeek)'의 개인정보 유출 논란 이후, 외국계 AI에 대한 경계가 강화되는 분위기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국가정보원과 행정안전부가 발행한 지침을 토대로 GPT 활용 가이드를 마련해 부서별로 배포하고 있으며, 자치구도 이와 같은 지침을 따르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신기술 이용료를 지원하는 직원에게는 개인정보 처리, 저작권, 확장 프로그램 사용 제한 등과 관련한 보안수칙 서명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GPT 결과물에는 출처 명시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j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