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뉴스1) 유승훈 기자 = 김관영 전북지사가 민선8기 출범과 함께 강력 추진한 국민의힘과의 '도정 협치'가 취임 3년 만에 마무리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지역 내에서 여야 협치의 상징으로 각인된 도 정책협력관의 사직이 확인되면서다.
13일 전북자치도 등에 따르면 이서빈 도 정책협력관(3급·전 국민의힘 전북도당 여성위원장)은 최근 사직 의사를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임용 7개월 만이다. 현재는 사직을 위한 행정 절차가 진행 중이다. 도 안팎에선 대통령 탄핵 인용 등 최근 중앙 정치 상황에 따른 결정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민선8기 전북도 정책협력관 자리는 모두(2번) 국민의힘(전북도당) 인사가 중용됐다. 박성태 전 국민의힘 전주시병 당협협의회 운영위원장이 2년 임기를 마쳤고 이서빈 현 정책관이 뒤를 이었다.
김 지사는 자신이 소속된 민주당 측의 지속적인 난색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 인사를 잇달아 중용했다. 각각 정운천, 조배숙 전·현 국민의힘 전북도당위원장과의 협의를 통해서다.
민선8기 출범 후 국민의힘 전북도당과의 협치는 많은 성과를 냈다.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을 위한 전북특별법 제정에서 협치 성과가 대표적이다. 정운천 당시 도당위원장과의 '케미'는 대단했다.

또 여러 도정 현안 추진 및 예산 확보 과정에서도 큰 역할을 한 것이 사실이다. 김관영 지사의 정치 철학인 ‘실리주의’에 부합한 정책으로 기대 이상의 시너지효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하지만 지속된 여야 갈등과 계엄, 탄핵 추진·인용 결정 등 일련의 상황이 이어지며 국민의힘과의 도정 협치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대두됐다. 특히 현 조배숙 국민의힘 전북도당위원장의 탄핵 반대 행보가 집중 부각되면서 부정 시각은 더 커졌다.
이는 이서빈 현 정책관의 사직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 한 관계자는 “당사자와 도지사의 의견이 크게 상충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관련 상황을 설명했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이 탄핵당하고 정권교체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김 지사의 취임 초와는 상황이 다르다"며 "3번 연속으로 국민의힘 인사를 중용치는 않을 것 같다. 차라리 중앙당과 가까운 민주당 인사를 앉히는 게 맞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전북도 한 정무라인 관계자는 "아직 사직 처리가 마무리되지 않았다. 추후 인사에 대해서도 결정된 것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9125i1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