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스1) 유승훈 기자 = 전북자치도가 2036 하계올림픽 최종 선정을 위한 2차 관문 대응에 본격 돌입한다고 4일 밝혔다.
전북도는 먼저 국내 유치도시 승인 절차에 착수한다.
첫 절차는 유치동의안 도의회 가결이다. 이 과정에서는 사전 타당성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타당성 조사는 3~4개월이 소요될 전망으로 수행 기관은 한국스포츠과학원이 유력하다.
이후 유치계획에 대한 문체부 승인에 대응한다. 이때는 국제행사 개최계획서, 대한체육회 승인자료, 사전 타당성조사 결과서, 정책성 등급조사 신청서, 전북자치도의회 의결서 등이 제출된다.
다음으로는 기재부 승인 대응이다. 문체부 적격심사 검토의견이 필수적이다.
앞서 서울시가 추진한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2032브리즈번 올림픽)’의 경우 이 절차 과정에 약 1년의 시간이 소요됐다. 전북도는 IOC 미래유치위원회의 동향 파악 등을 바탕으로 문체부·기재부와의 협의를 통해 조기 승인을 추진할 방침이다.
대외적으로는 IOC와의 협의를 진행한다. 지속협의 단계에서 우선협상도시 선정 절차를 밟게 된다.
단, 대한민국은 2020년 2월 유치의향서를 IOC에 제출해 현재 ‘지속협의’ 단계에 있으나 유치신청 도시 변경(서울→전북 전주)으로 인해 문체부 승인 후 유치의향서를 다시 제출하게 된다.
우선협상도시 선정 후 IOC 대의원총회 최종 선정 과정까지는 약 4개월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북도 내부에서는 유치 전담조직이 구성된다. 조직개편 등을 고려할 때 오는 7월 정도로 예상된다. 도는 국내 후보도시 선정 과정에서 연대한 타 지자체 파견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이 조직은 사전 타당성조사, 기본계획 수립 목적 용역 추진, 문체부기재부 심의 및 현장실사 대응, 홍보, IOC 미래유치위 답변서 작성제출 및 국내 실사 준비 등의 역할을 한다.

9125i1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