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장시온 기자 = 정부가 중소·벤처기업의 M&A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기업가치 평가 수수료를 최대 2000만 원까지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M&A 활성화 지원사업 공고를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사업은 기술보증기금 민관협력 M&A 플랫폼이 온라인 시스템과 오프라인 M&A 지원센터를 26일부터 가동함에 따라 중개 역할 분담과 지원 연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한다.
올해부터는 M&A 거래정보망을 M&A 정보망으로 이름을 바꾼다. M&A 중개 업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M&A 거래정보망은 종료하고 정보 제공 기능에 집중한다.
관련 법률과 계약, 세무·회계, 실사와 기업가치 평가 등 교육 콘텐츠와 국내외 M&A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등 6월 말까지 개편을 끝낼 예정이다.
매도희망기업 대상 M&A 기업가치 평가비용 지원도 이뤄진다.
매도희망기업은 거래 추진 과정에서 회계법인 등 자문사로부터 기업가치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 비용이 부담이라는 현장의 의견이 많았다.
지원 요건은 M&A 정보망 또는 기술보증기금 민관협력 M&A 플랫폼에 등록된 곳과 자문 계약을 체결한 매출 400억 원 이하 중소·벤처기업이다.
중소기업은 최대 1500만 원의 범위에서 평가 수수료의 40%를, 벤처기업은 최대 2000만 원의 범위에서 수수료의 60%를 지원받을 수 있다. 예산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다.
김봉덕 중기부 벤처정책관은 "중소·벤처기업 M&A 활성화를 위해 기보 민관협력 M&A 플랫폼을 현장에 안착시키고 M&A 활성화 지원사업을 지속 고도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zionwkd@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