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단체연합회 "제약사·정부 '키트루다' 급여 확대 늦춰선 안돼"

2년째 재논의 반복되며, 환자들 치료기회 놓쳐

다국적제약사 MSD(미국명 머크)가 2019 ASCO에서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를 소개하고 있다.
다국적제약사 MSD(미국명 머크)가 2019 ASCO에서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를 소개하고 있다.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한국환자단체연합회가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룰리주맙)의 급여 확대를 요구하고 나섰다. 2년째 급여 확대가 논의가 지속되는 동안 환자들이 치료 기회를 놓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10일 환자단체연합회는 성명서를 통해 "오는 12일 열리는 '2025년 제1차 암질환심의위원회에서 키트루다 급여 확대 안건이 통과돼야 한다"며 "이후 진행될 약제급여평가위원회의 급여 적정성 평가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제약사의 약가 협상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스스로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도록 돕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는 지난 2014년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2015년 7월 유럽의약청(EMA)을 통해 허가 받았으며 현재 각각 31개와 39개의 적응증이 승인됐다. 국내에서는 2015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흑색종을 적응증으로 최초 허가를 받았다. 이후 적응증이 확대되며 현재 16개 암종에서 총 34개의 적응증이 승인됐다.

하지만 실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적응증은 극히 제한적이다. 환자단체연합에 따르면 현재는 비소세포폐암, 호지킨림프종, 흑색종, 요로상피암 4개 암종에서 7개 적응증만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다.

이는 영국(19개), 캐나다(18개), 호주(14개)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키트루다의 급여 확대 논의는 지난 2023년 제약사 측의 요청으로 13개 적응증에 대해 논의가 시작됐으며, 지난해에는 4개 적응증이 추가돼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반면 급여화 논의는 지지부진하다는 것이 환자단체 측의 주장이다. 지난 2023년 10월 열린 제7차 암질환심의위원회에서는 "급여 확대 신청된 다수의 적응증을 대상으로 적응증별로 의학적 타당성, 진료상 필요성 등을 우선 검토하고, 입증된 적응증의 전체 재정에 대해 제약사의 재정 분담안을 제출받아 영향을 분석해서 급여기준 설정 여부를 논의한다"고 했다. 이후 지난해 12월까지 개최된 총 5차례의 암질환심의위원회 회의에서도 '재논의' 결정만 반복되고 있다.

환자단체연합회는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 급여기준 확대를 논의할 당시에도 치료 필요성은 명확했지만, 정부와 제약사의 재정 분담 논의가 길어지는 사이 환자들은 적절한 치료 기회를 놓쳤다"며 "폐암 1차 치료 급여기준 확대는 2017년 첫 논의된 후 약 4년이 지난 2022년에야 이루어졌지만, 그 과정에서 치료받지 못한 환자들의 피해는 되돌릴 수 없다"고 설명했다.

rn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