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건설부문, 디지털 트윈 역량 강화

BIM, 드론, 3D스캐너 적극 활용

본문 이미지 - CJ대한통운 건설부문.
CJ대한통운 건설부문.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CJ대한통운 건설부문이 디지털 트윈 역량 강화에 나선다.

CJ대한통운 건설부문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3D 가상공간에 전 건설분야의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술), 드론, 3D 스캐너 중심의 현장 전문가 양성 과정을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각 현장의 공사(건축, 전기·기계설비), 공무, 품질, 안전 직무자를 대상으로 한 심화 과정과 현장 소장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기본 과정으로 나누어 총 90여 명이 참여 예정이다.

각 현장의 실무자뿐만 아니라 현장 소장을 비롯한 관리자급까지 관련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전 현장에서 스마트 건설 툴을 적극 활용해 전반적인 시공 품질 역량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스마트 건설 기술 활용 수준 단계에 따라 진행되는 이번 교육은 BIM, 드론, 3D 스캐너, RTS(Robotic Total Stations, 원격 조작 가능 측량 장비), 스케치업 프로그램 활용 및 관련 자격증 응시 지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CJ대한통운 건설부문은 2022년 스마트 건설 전담 부서를 신설해 전국의 현장 방문 지원과 수주 검토 지원 및 공사 단계별 지원 등을 통해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전파하고 있다.

특히 BIM, 드론, 3D스캐너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종이 도면을 기초로 한 협의보다 직관성이 높아져 협력사나 발주처 등 이해관계자와 소통이 빠르고 명확해졌다.

공사 금액 1000억 원 이상 물류 시설이나 생산 시설, 복잡도가 높은 도심지 톱다운 현장에 토공, 골조 모델링을 의무화해 설계 오류를 사전에 제거하고 있다.

드론 촬영·정합을 통해서는 3D 시공 현황 기록 및 공유, 현장 경사도, 면적, 거리 등 현장 측정과 토공량 산출 및 공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10년 이후에만 40건 이상의 도심지 업무시설 시공 실적을 보유한 CJ대한통운 건설부문은 최근 수주한 명동일대 2개 사업장에 3D스캐너 기술을 이용해 철거해야 하는 기존 시설물의 현황을 파악하고, 신규공사 영역과의 간섭을 확인해 공사계획을 수립하는 등 공사 품질을 관리하는데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민영학 CJ대한통운 건설부문 대표이사는 "건설 현장의 디지털화는 거스를 수 없는 큰 흐름으로서 당사는 물류·생산 시설 공사 및 도심지 오피스 공사 등에서 적극 활용하고 있다"면서 "디지털 기술 역량을 축적해 공정·품질·원가·안전 관리를 강화하는 현 단계를 뛰어넘어 비즈니스 혁신을 이끌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junoo5683@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