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임세원 박기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찬탄(탄핵 찬성)과 반탄(탄핵 반대) 진영 간 갈등이 위험 수위로 치닫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2심에서 예상밖 무죄를 선고받고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사실상 4월로 넘어간 게 갈등의 수위를 최대치로 끌어올리고 있다.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이 대표의 피선거권 상실 판결이 나올 것으로 기대했던 여권은 헌재가 이른 시일 내 기각 또는 각하 결정을 내리길 기대하고 있다. 반면 야권은 탄핵 인용을 확신하며 헌재의 빠른 결정을 압박하고 있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헌재 앞 '탄핵 기각·각하 촉구' 릴레이 시위를 진행한다.
여당은 이재명 대표 무죄 선고 이후 헌재의 탄핵 심판 기각·각하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있다. 윤 대통령이 다시 직무에 복귀해 이 대표의 상고심까지 시간을 벌고, 악화한 여론을 반전시키는 것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는 판단이다.
전날 국민의힘 지도부는 산불 대응을 이유로 헌재 앞 시위를 일시 중단한다고 발표했으나, 천막 내 릴레이 시위는 그대로 이어가기로 했다. 당내에 헌재 판단을 둘러싼 조바심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한 초선 의원은 뉴스1과의 통화에서 "이재명 대표 항소심이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기각 결정을 내릴 것이란 신호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비상식적"이라며 "지금은 자세를 가다듬으며 윤 대통령 복귀를 기다리는 길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 대표의 항소심 무죄 판결로 자신감을 얻은 민주당은 탄핵 국면을 마무리하기 위해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헌재의 조속한 인용 결정을 끌어내 조기 대선 정국으로 진입하겠다는 전략이다.
민주당은 헌재를 향한 장외 투쟁 강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다음 달 18일까지 광화문 천막당사 농성을 24시간 체제로 전환하고, 의원 전원이 철야 농성에 동참한다. 헌재 앞 릴레이 시위와 기자회견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탄핵 카드를 꺼내 들며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도 끌어올리고 있다. 민주당은 당초 27일 본회의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탄핵안을 보고하고 처리 수순에 돌입할 예정이었으나, 영남권 산불 사태로 일정을 일시 연기했다. 하지만 3월 임시국회 종료 전인 다음달 3일 본회의를 열어 탄핵안을 공식 보고하고 표결까지 마친다는 방침이다.
무죄 판결로 대권 가도에 청신호가 켜진 이 대표는 민생 행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그는 지난 26일 서울고법에서 무죄 선고를 받은 직후 곧장 산불 피해 현장으로 달려가 이재민을 만났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대전 현장 최고위원회를 마친 뒤 경남 산청의 이재민 대피소를 찾아 산불 피해를 확인할 예정이다.
say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