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총력…4대 분야 14개 과제 추진

기획조정실 신년 업무 브리핑

본문 이미지 - 이강준 기획조정실장은 3일 신년 브리핑을 갖고 올해 시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전주시 제공)/뉴스1
이강준 기획조정실장은 3일 신년 브리핑을 갖고 올해 시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전주시 제공)/뉴스1

(전주=뉴스1) 임충식 기자 = 전북자치도 전주시가 올해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에 행정력을 집중한다.

이강준 기획조정실장은 3일 신년 브리핑을 갖고 “전주시는 올해를 미래 청사진을 가시화하는 원년으로 삼을 것”이라며 “전주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에도 만전을 기할 생각이다”고 말했다.

이를 위한 핵심과제도 내놨다. 구체적으로는 △100만 광역도시 도약을 위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 △청년이 정착하는 젊은 도시로 변화 △누구나 존중받는 시민 중심 도시 구현 △AI 기반 디지털 행정도시 구축 등 4개 분야다.

먼저 시는 매주 1회 특별민생경제 대책회의를 운영하며 민생안정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도 지속적으로 발굴하기로 했다. 또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7729억 원을 상반기에 집행할 예정이다.

또 올해에도 전북특별자치도·정치권과 유기적인 소통·협력을 토대로 국가예산 확보에 총력을 다하기로 했다. 지난해 국회 단계 증액이 반영되지 않은 사업의 경우, 2025년도 정부추경예산 및 공모사업에 적극 대응하는 등 추가 예산 확보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완주·전주 상생협력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된다. 효율적인 사업 수행을 위해 완주·전주 상생발전 전주시민협의위원회도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청년이 정착하는 젊은 도시로의 변화에도 주력한다. 이를 시는 △제9기 ‘청년희망단(40명)’ 구성 △관내 6개 대학과 소통간담회 운영 △청년 참여예산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미취업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구직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노력할 방침이다. 하반기에는 (가칭)청년정책본부를 신설, 청년정책을 대폭 강화해 추진할 방침이다.

지난해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지역발전특구사업도 구체화된다. 시는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균형 잡힌 교육환경 △K-문화로 세계화 선도 △국제화 교육의 중심 등 지역인재 양성과 정주 생태계 구축에 본격 나설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제2차 전주시 인권보장 및 증진 기본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해 안정적이고 선도적인 인권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AI 기반 지능형 행정서비스와 철저한 사이버 침해 대응도 강화된다. 먼저 시는 성형 AI기술을 활용해 개인 안부 확인이 가능한 ‘어르신 케어콜 서비스’와 경로당 인근 우범지대에 지능형 CCTV를 탑재한 ‘스마트폴’을 구축하는 등 AI 행정서비스를 구현할 방침이다. 스마트 AI 한옥마을 구축사업도 추진된다.

이강준 국장은 “민생경제 위기 극복과 100만 광역도시 도약을 위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행정력을 집중할 예정이다”면서 “특히 청년정책 강화 및 교육발전특구 본격 추진 등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도 지속해나갈 방침이다”고 말했다.

94chung@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