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올해 2분기 부산 제조업 경기에 경고등이 켜졌다. 고환율과 내수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인한 충격까지 겹치면서 지역 제조업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17일 부산상공회의소가 지역 제조업 252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2분기 부산지역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분기 지역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는 68로 1분기에 이어 또다시 60대를 기록했다.
제조업경기전망지수(BSI)는 기준치 100 이상이면 경기 호전, 미만이면 악화를 의미한다.
경영부문별로는 매출(70), 영업이익(67), 설비투자(71), 자금사정(66) 등 전 부문에서 기준치(100)을 하회했다.
업종별로도 내수부진 장기화와 글로벌 통상문제 등 대내외 경영환경 악화로 화학·고무(93), 전기·전자(79), 자동차·부품(62)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이중 1차금속(37)은 전방산업인 건설업 침체에다 미국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고율관세 정책으로 인한 부담으로 업황 전망이 가장 낮았다.
올해 매출 목표에 대해서는 조사기업의 46.8%가 전년대비 하향 조정했으며, 투자계획을 축소한 기업도 51.2%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사업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는 내수부진(33.0%)을 꼽았다. 이어서 원부자재 가격 상승(19.5%), 고환율 기조 지속(17.3%), 트럼프발 관세정책(15.5%),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8.5%), 자금조달 및 유동성 문제(5.6%) 등의 순이었다.
미국 관세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는 지역기업 30.2%가 속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은 미국에 완제품 수출(32.9%),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26.3%),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22.4%), 중국 외 멕시코·캐나다 등에 부품·원자재를 수출(15.8%)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기업의 47.4%는 고율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우려했고 응답기업의 81.6%는 뚜렷한 자구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지역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매일 매일 달라지는 미국의 통상정책에 사실상 기업들은 속수무책"이라며 "정부는 관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통상외교와 함께 기업이 한계상황에 내몰리지 않도록 기업금융을 확대하는 등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yw534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