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생성형 AI, 인터넷 이용자 3명 중 1명 경험

과기정통부,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발표
구독 서비스 이용 비율 49.4%…2023년 대비 3.8배 증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1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2024년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이용률이 전년 대비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가구와 개인의 △인터넷 이용 환경(컴퓨터, 모바일) 및 이용률 △이용 행태(시간, 목적) △주요 서비스 활용(AI, 동영상, 인터넷뱅킹 등)을 조사한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AI 서비스를 경험해 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2021년 32.4%에서 매년 꾸준히 상승해 2024년는 60.3%로 나타났다.

AI의 도움 정도의 만족도는 자율주행 등 교통 분야(98.3%)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필요도 및 향후 이용 의향은 가사 지원 로봇, IoT 가전 등 주거 편의 분야가 높았다.

생성형 AI 서비스를 경험해 봤다는 응답 비율은 2023년 17.6%에서 2024년 33.3%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용 분야는 단순 정보검색(81.9%), 문서작업 보조(44.4%), 외국어 번역(40.0%), 창작 및 취미활동 보조(15.2%), 코딩 및 프로그램 개발(6.3%) 순이었다.

인터넷 상품 구매 시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2023년 13.1%에서 2024년 49.4%로 약 3.8배 증가했다.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와 같은 해외 직구 사이트가 한국 시장에 직접 진출하면서 인터넷 쇼핑 이용자의 해외직구 이용률은 2023년 20%에서 2024년 34.3%로 약 1.7배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47.2%)가 가장 높았고, 20대(43.5%), 40대(36.8%) 순으로 조사됐다.

전체 가구의 인터넷 접속률은 전년과 동일한 99.97%다. 인터넷 이용자의 90.5%는 하루에 1회 이상, 주 평균 20.5시간 이용한다. 인터넷 이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97.5%),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88.9%)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97.7%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고 가장 많이 이용하는 메신저는 카카오톡(98.0%)으로 집계됐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의 95.4%가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1인 미디어 채널(68.3%)로 나타났다.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AI 서비스가 국민의 일상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이용 역량 강화, 윤리적 활용 방안 마련 등 다양한 정책과제를 적극 발굴·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는 전국 2만 5509가구 및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 22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yjra@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