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봄철은 1년 중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시기다. 특히 3월은 연중 화재 발생 건수가 가장 많은 달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소방청은 '2025년 봄철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소방청이 최근 5년간(2020~2024년) 화재 발생을 분석한 결과, 봄철(3~5월) 화재 발생 건수는 5만 2855건(전체의 28.0%)으로 사계절 중 가장 많았다. 계절별로 보면 봄(28.0%)에 이어 겨울(26.7%), 여름(22.8%), 가을(22.5%) 순이었다. 이 중 3월(1만 8727건)은 단일 월 기준으로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시기로 나타났다.
봄철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는 1조 5000억 원으로, 전체 재산 피해액의 32.6%를 차지했다. 이는 가을철 화재 피해액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봄철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연평균 650명으로 겨울철 다음으로 높았다.
화재 발생 원인은 부주의(55.4%)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전기적 요인(20.6%)과 기계적 요인(8.8%)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특히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는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장소는 주거시설(27.2%)이었으며, 야외·임야(22.1%), 자동차·철도(11.6%) 순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봄철 대형화재와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건설현장 및 공사장 화재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쪽방촌 등 주거취약시설에 소화기·감지기 등 안전시설을 지원할 계획이다.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봄철은 큰 일교차와 강한 바람으로 인해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대형 화재 위험성이 높아지는 시기"라며 "화재 발생 원인의 절반 이상이 부주의인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예방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hj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