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예상을 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를 우려했다.
로이터·AFP통신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16일(현지시간) 시카고 경제클럽 연설에서 "관세는 적어도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인플레이션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일시적 또는 지속적 영향에 주목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 정책이 연준이 예상했던 최악의 시나리오를 뛰어넘는다고 우려했다. 그는 "예상보다 (관세율이) 더 높다"며 "경제에 미칠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준의 양대 목표인 물가 안정과 건강한 고용 시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파월 의장은 연준의 목표가 "인플레이션 억제와 고용 안정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며 이 두 목표가 "서로 긴장 상태에 놓이는 어려운(challenging)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경우 "경제가 각 목표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이 격차가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서로 다른 잠재적 시간 범위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두가지 목표가 충돌할 경우 어떤 것을 우선할지 묻는 질문에는 "의심할 여지 없이 매우 어려운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관세, 이민, 재정, 규제 관련 행정부의 정책이 "아직은 진화 중이며 경제에 대한 영향은 매우 불확실하다"고 평가했다.
파월 의장은 연준이 "장기적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견고히 유지하고 일시적 물가 상승이 지속적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리 의무"며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해선 성장이 "지난해보다 둔화했다"며 "자동차 판매는 강세지만 전체 소비는 소폭 늘었다"고 진단했다. 또 "기업들이 잠재적 관세에 대비해 수입을 늘린 것이 첫 분기 수입 증가로 이어져 국내총생산(GDP) 성장에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노동 시장과 관련해서는 "전반적으로 견고하다"며 "구인과 구직자 비율도 팬데믹 이전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임금 상승률은 둔화했지만 여전히 물가 상승률보다 높다"고 분석했다.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황과 관련해서는 "2022년 중반의 최고치에 비해 크게 완화됐다"면서도 "아직 연준의 목표인 2%를 상회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3월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 물가는 12개월간 2.3% 상승했고,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물가지수는 2.6% 오른 것으로 추산된다.
gw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