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ENA 채널에서 방영한 군대 배경의 유쾌한 드라마가 뭐였지?"
KT(030200)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인터넷TV(IPTV) 지니 TV에 미디어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상반기부터 단계적으로 탑재한다. AI 에이전트는 이런 질문을 듣고 지니 TV 오리지널 '신병'을 찾아 바로 시청 가능한 주문형비디오(VOD)로 연결해 준다.
KT는 16일 오전 안다즈 서울 강남 호텔에서 'KT그룹 미디어토크'를 열고 이런 내용의 'KT 미디어 뉴웨이' 전략을 소개했다. 이는 미디어 콘텐츠 사업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하고 플랫폼 이용 경험을 혁신하기 위한 전략이다. 크게 AI 플랫폼, 사업 모델 혁신, AI 콘텐츠 세 축으로 전개된다.
KT는 해당 AI 에이전트를 통해 외부 파트너사와의 상생 모델도 구축한다. 홈쇼핑 사업자들을 위한 지니 TV 쇼핑 인사이트 설루션에 AI 에이전트를 적용해 파트너사의 빅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을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지니 TV의 AI 플랫폼은 그룹사에도 확대 적용된다. KT 측은 "약 1400만 KT그룹 미디어 서비스 고객이 기존과 다른 수준의 AI 서비스를 TV로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KT는 기존 IPTV 기반 유료방송 시장의 성장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채널(FAST)과 숏폼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한다.
상반기 중 지니 TV에서 FAST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성과에 따라 글로벌 시장 진출을 검토한다. 또 KT스튜디오지니를 숏폼 전문 스튜디오로 포지셔닝해 AI 기반 숏폼 제작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미 국내외 주요 플랫폼과 약 20편의 공동제작을 협의 중이라는 게 KT 측 설명이다.
아울러 미디어 이용 행태 변화에 발맞춰 실시간 채널과 VOD 중심의 IPTV 사업 모델의 구조적 변경도 검토 중이다.
이 밖에도 KT는 이날 미디어 인공지능 전환(AX) 가속화를 위한 미디어 콘텐츠 AX 전문조직 'AI 스튜디오 랩'을 소개했다.
AI 스튜디오 랩은 △투자 심사(AI 기반 흥행 예측 보조 심사관) △기획(AI 보조작가, AI 스토리보드 등) △제작·편집(AI 음악, CG, 편집 등) △마케팅·유통(AI 숏폼, 자막, PPL 등)에 이르기까지 콘텐츠 사업 전 과정에 AI 기술을 적용한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전무)은 "AI 혁신과 새로운 IP 확장 전략에 KT 그룹의 역량까지 결합해 KT 미디어의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flyhighro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