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 끝나면 도미노 가격인상 멈추나"…식품업계, 선고 결과 촉각

라면·커피 등 탄핵정국 연이은 인상…고환율·기후플레이션 등도 영향
"탄핵 선고되면 시장 활성화 중요, 인상 행렬 줄 것"…뒤늦은 동참 가능성도

서울 시내의 한 대형 마트에 라면이 진열돼 있다. /뉴스1 ⓒ News1
서울 시내의 한 대형 마트에 라면이 진열돼 있다. /뉴스1 ⓒ News1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가 이번 주로 전망되는 가운데, 혼란스러운 정국을 틈타 잇달아 가격을 올렸던 식품업계의 움직임에도 제동이 걸릴지 이목이 쏠린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일 계엄 사태 이후 주요 식음료 업체들은 전방위적으로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농심(004370)은 17일부터 라면과 스낵 17개 제품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했다. 2023년 7월 정부 요구로 내렸던 신라면과 새우깡 가격을 회복했다.

10대들이 주로 즐기는 버거 제품도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했다. 한국맥도날드는 오는 20일부터 20개 메뉴에 대해 평균 2.3% 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경쟁사인 버거킹도 지난 1월 대표 메뉴인 와퍼를 1.4% 올리는 등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이외에도 롯데웰푸드(280360)는 빼빼로 등 26종 제품의 평균 가격을 9.5% 인상했다. 빙그레(005180)도 3월부터 더위사냥, 붕어싸만코 가격을 조정했으며, 빙그레 자회사인 해태아이스도 부라보콘 등의 가격을 조정했다.

국내 커피 1위 업체인 스타벅스는 지난 1월 톨 사이즈 음료 22종의 가격을 200~300원 인상했다. 이외에도 할리스와 폴바셋 등도 가격을 상향 조정했으며, 저가 커피 브랜드인 컴포즈도 아이스아메리카노 가격을 300원 인상했다.

본문 이미지 -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을 경찰이 차벽과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통제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을 경찰이 차벽과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통제하고 있다. /뉴스1 ⓒ News1

"탄핵 선고되면, 시장 분위기 높여야 해 인상 행렬 줄 것"

윤석열 정부는 추경호 당시 경제부총리가 직접 나서 라면 가격의 적정성 문제를 제기할 만큼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에 압박을 거세게 가한 바 있다. 그랬던 정부의 리더십 공백이 생기자, 업계는 반작용을 보이면서 가격을 연일 끌어올린 것이다.

정국 혼란으로 발생한 환율 상승,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원재료가 인상, 미국 트럼프 정부의 규제 강화 가능성 등 부정적인 대외 환경도 가격 인상의 근거가 됐다.

그러나 이번 주 탄핵 선고가 완료되면 이같은 가격 인상 행렬에도 속도 조절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품 산업은 수익성만큼이나 경기 활성화도 중요한 사안"이라며 "탄핵이 선고되고 정국이 안정되면 시장 분위기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가격 인상 행렬은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대선까지 시간이 남아있어 아직 가격 인상을 단행하지 못한 업체들의 뒤늦은 동참도 있을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조기 대선이 끝날 때까지는 원력 공백 상태가 계속된다"며 "가격 인상과 탄핵 선고는 관계없이 인상 행렬은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hji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