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도 수수료 내라?"…배민, 픽업 수수료 부과에 외식업계 '울상'

배민, 다음달 14일부터 방문포장 주문에도 중개수수료 6.8% 부과
"자영업자 수수료 부담 증가…결국 외식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

22일 서울의 한 음식점에 배달앱 배달의민족(배민) 스티커가 붙어 있다. 2025.1.22/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22일 서울의 한 음식점에 배달앱 배달의민족(배민) 스티커가 붙어 있다. 2025.1.22/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배지윤 기자 = 프랜차이즈 업계가 배달의민족의 방문 포장 주문 중개수수료 부과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미 높은 배달 수수료 부담을 안고 있는 상황에서 방문 포장 주문까지 추가 비용이 발생하면 가맹점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배민은 방문 포장 주문 서비스를 '픽업'으로 리브랜딩하고 다음 달 14일부터 점주에게 중개수수료 6.8%를 부과할 예정이다. 현재 방문 포장 주문에 중개수수료를 부과하는 배달 플랫폼은 요기요뿐이며 쿠팡이츠는 별도 수수료를 받지 않고 있다.

배민은 2020년 포장 주문 서비스를 도입한 이후 5년간 중개수수료를 면제해 왔다. 하지만 지난해 7월 배달 중개수수료를 6.8%에서 9.8%로 인상하면서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적용하기로 했다. 단 올해 3월까지는 신규 업주에게 포장 중개수수료의 50%를 감면하고 기존 업주에게는 수수료를 면제하는 유예 조치를 시행해 왔다.

그러나 이달 유예 조치가 종료되면서 가맹점들은 다음 달부터 방문 포장 주문에도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프랜차이즈 업계와 자영업자들은 이러한 정책이 소상공인의 부담을 가중하는 정책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A사 관계자는 "배달 플랫폼이 방문 포장 주문까지 중개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은 자영업자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는 정책"이라며 "소비자들은 배달료를 아끼기 위해 직접 방문하는데 수수료가 붙으면 음식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프랜차이즈 B사 관계자도 "포장 주문은 고객이 직접 방문하는 방식인데도 업주에게 높은 중개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지 의문"이라며 "자영업 시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오히려 업주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이번 정책이 시기적으로도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관계자는 "경기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배민이 상생안을 발표한 직후 방문 포장 수수료 부과 정책을 내놓은 것은 모순적"이라며 "배민이 경영난을 겪고 있는 것도 아니고 점유율이 급락한 것도 아닌데 왜 지금 이런 결정을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 외식업계 관계자도 "눈이 많이 오거나 날씨가 좋지 않을 때 소비자들이 방문 포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며 픽업 수수료를 받겠다는 것은 이런 날씨 변수에도 불구하고 수익을 올리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자영업자들에게 '장사하지 말라'는 것과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관계자는 "배달 주문의 중개수수료도 높은데 방문 포장까지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면 가맹점과 소상공인은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며 "수수료 부담이 클수록 자영업자들은 배달보다 방문 포장을 활성화하려 할 텐데, 여기까지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배민 관계자는 "당사는 포장(픽업)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중개이용료에 기반한 서비스 재투자를 적극 진행함으로써 업주 분들의 부담을 낮추고 추가 매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며 "입점 가게들의 실질적인 주문 수 확대·매출 성장·비용 절감을 극대화할 픽업 서비스 개편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jiyounbae@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