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신은빈 기자 = 카카오(035720) 그룹이 15주년을 맞아 그룹 경영 워크숍을 열고 인공지능(AI) 사업 중심의 미래 성장 전략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카카오는 18일 오후 경기 용인시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주요 그룹사 임원들이 모여 경영 워크숍 '원 카카오 서밋'(One Kakao Summit)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원 카카오 서밋은 주요 경영 현안을 점검하고 핵심 의제를 논의하고자 올해 처음 마련한 자리다.
정신아 의장을 비롯해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페이, 카카오픽코마 등 16개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와 CA협의체 위원장 등 160여 명의 임원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End to And-새로운 15년, 다시 시작점에 서다'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됐다. 모바일 시대가 마무리되고 새로운 AI 시대가 열렸음을 뜻한다.
정 의장은 기조연설에서 "15년 전 카카오는 모바일 혁명기 초입에 뛰어들어 사람들의 일상에 큰 변화를 만들었다”며 “향후 15년 동안에도 AI를 통해 다시 한번 삶의 풍경을 바꾸고 새로운 미래의 문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AI로 급변하는 현재의 경영 환경을 '이노베이션 윈도우'(Innovation Window)란 개념으로 설명했다.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일시적으로 열리는 혁신의 기회를 가리킨다.
전 세계 기술 기업들이 연일 새로운 AI 기술과 서비스를 쏟아내며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지만, 모바일 시대의 카카오톡처럼 대중의 일상을 근본적으로 변화한 서비스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정 의장은 AI 대중화를 위한 그룹의 3가지 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자체 개발한 '카나나'부터 오픈AI의 GPT까지 다양한 언어모델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정책 △메시징·금융·모빌리티 등 그룹 내 주요 서비스를 하나로 엮는 에이전트 플랫폼 간 생태계 비전 △사용자 일상을 통합 이해할 수 있는 심층 데이터 구축이다.
그는 "한정된 자원으로 글로벌 빅테크들과 국경 없는 경쟁을 벌여야 하는 만큼 '일단 해 보자'는 접근은 위험하다"며 "높은 시장 이해에 기반한 명확한 방향 설정과 효율적이고 속도감 있는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룹 주요 리더들도 발표를 이어갔다.
김재용 카카오픽코마 대표는 "픽코마는 게임 영역을 제외하면 전 세계에서 7번째로 큰 매출을 내는 애플리케이션(앱)"이라며 "세계 최대 규모인 일본 만화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해 고객 요구에 맞는 디지털 플랫폼을 적기에 제공한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AI와 금융의 결합을,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상생과 동반성장의 기조에서 진행 중인 신사업 방향성을 공유했다. 황태선 CA협의체 총괄대표의 카카오 15년 여정 회고,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의 카카오톡 성장 전략 발표도 진행됐다.
bea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