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탑재한 아이폰 16e…삼성 갤럭시와 모바일 AI 대전

아이폰 보급형 제품 최초로 AI 인텔리전스 사용 가능
삼성 갤럭시 A시리즈로 맞불 전망

본문 이미지 - 아이폰16e (애플 뉴스룸 제공)
아이폰16e (애플 뉴스룸 제공)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애플이 보급형 최초로 인공지능(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활용할 수 있는 '아이폰 16e'를 출시하며 모바일 AI 경쟁에 불을 붙였다.

애플은 20일 약 3년 만에 아이폰의 보급형 제품인 '아이폰 16e'를 공개했다. 애플은 그동안 '아이폰 SE'로 보급형 제품을 출시해 왔는데 이번에 리브랜딩을 통해 아이폰16 제품군에 편입시켰다.

아이폰 16e는 아이폰 16과 동일한 A18 칩이 탑재됐다. 중앙처리장치(CPU) 코어 수는 6개로 동일하지만, 그래픽 처리장치(GPU)는 1개 적은 4코어다. 램은 8기가바이트(GB)가 채택됐다.

아이폰16e는 보급형 최초로 애플의 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눈길을 끈다. 사용자들은 이미지 생성, 맞춤법 교정, 카메라 등에서 AI를 활용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혁신적인 기능은 없지만 저가 모델에서 AI 인텔리전스를 사용 가능해졌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

현재 모바일 시장도 AI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1월 갤럭시 S25를 공개하며 AI폰 대중화를 선언한 바 있다.

갤럭시 S25는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탑재하고 통합형 AI 플랫폼인 'One UI 7'을 통해 다양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했다. 나에게 맞는 서비스를 스스로 찾아주는 AI 에이전트와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는 멀티모달 AI를 고도화했다.

갤럭시 S25의 시장 반응은 뜨겁다. 국내 사전 판매에서는 역대 최다인 130만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애플의 보급형 제품에 삼성전자도 보급형 라인업으로 맞설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조만간 A56, A36, A26 등 다양한 갤럭시 A시리즈 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급형 제품 경쟁에서 삼성전자의 입지를 강화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갤럭시 A56은 엑시노스 1580 칩을 탑재, 갤럭시의 주요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애플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양분하고 있지만 중국 기업들의 추격도 거세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스마트폰 점유율에서 삼성전자가 19%로 1위, 애플이 18%로 2위였다. 삼성전자와 애플은 전년과 비교해 각각 1%p 하락했지만 샤오미는 2년 연속 점유율을 높이며 3위(14%)를 기록했다.

화웨이도 공격적인 행보를 보인다. 화웨이는 최근 두 번 접을 수 있는 '트리폴드' 스마트폰의 글로벌 출시를 공식 발표하며 존재감 회복을 노리고 있다. 여전히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지원하지 않는 약점이 있지만 트리폴드와 같은 기술 혁신이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도 있다.

yjra@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