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산불 24시간 만에 꺼져…'낮은 고도·임도 효과 봤다'(종합)

해발 고도 200m까지 진화 인력 접근 용이

본문 이미지 - 8일 하승철 하동군수가 산림청 산불현장지휘본부에서 산불 주불 진화 완료와 함께 후속 대책을 말하고 있다.2025.04.08/뉴스1 강미영기자
8일 하승철 하동군수가 산림청 산불현장지휘본부에서 산불 주불 진화 완료와 함께 후속 대책을 말하고 있다.2025.04.08/뉴스1 강미영기자

(하동=뉴스1) 강미영 기자 = 대형 산불을 끈 지 1주일 만에 또다시 큰불이 난 경남 하동에서 24시간 만에 불길이 잡혔다.

산림 당국은 헬기 34대, 인력 772명, 장비 93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인 결과, 8일 낮 12시 기준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당국에 따르면 이번 산불은 지난달 산청에서 발생한 산불이 하동으로 번진 지점과 불과 2~3㎞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거기에 현장엔 지난 산불과 비슷한 세기의 강풍이 불면서 습도는 훨씬 낮아 산불이 빠르게 확산할 우려가 있었다.

하승철 하동군수는 이날 현장 브리핑에서 "지난 산불은 지리산과 가까운 고산이 많았고 오랫동안 쌓인 낙엽층 등으로 진화 여건이 열악했다"며 "이번에 불이 난 곳은 200m가량의 낮은 해발고도라 상대적으로 접근이 용이했다"고 설명했다.

하 군수는 "지난번과 달리 임도가 잘 갖춰져 있어 인력과 장비가 손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며 "산불 진화를 위한 정부 가용자원도 지난 산불보다 여유가 있었다. 인명피해를 막기 위한 유관기관의 체계적 협조 체계도 좋은 성과를 냈다"고 말했다.

본문 이미지 - 하동 옥종면에서 야간 진화 작업을 벌이는 산불진화대원들.(산림청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하동 옥종면에서 야간 진화 작업을 벌이는 산불진화대원들.(산림청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당국은 진화 인력 237명을 투입해 잔불이 남은 암석 지대를 집중 진화하는 한편 뒷불이 살아나지 않도록 감시할 예정이다.

잔불 진화 마무리까진 앞으로 5~10일가량 걸릴 전망이다.

하동군은 주불 진화와 함께 주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군은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산불 피해지 및 산사태 우려 지역에 대한 긴급 진단을 실시하기로 했다. 산불 피해지역은 현장 조사를 통해 복구계획을 수립하고, 기후·토양·환경 등 요소를 종합 고려해 연차별 조림 복원을 할 예정이다.

이번 산불의 전체 화선은 5.2㎞, 산불영향 구역은 축구장 100개 규모인 70㏊로 추정된다.

이번 산불은 70대 남성이 전날 산에서 예초기를 사용하다 불을 내면서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남성은 자체 진화에 나섰다가 양손에 2도 화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번 불로 산불 현장 인근 주민 506명이 대피했으나 시설 등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mykk@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