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뉴스1) 정진욱 박소영 이시명 기자 =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전원일치 의견으로 파면 결정을 내리자, 인천 시민사회와 거리의 반응은 차분하면서도 결연했다.
4일 오전 11시 인천 남동구 인천종합버스터미널 대합실. 헌재의 선고 장면이 생중계되자 시민 수십 명이 조용히 TV 화면에 집중했다. 환호나 탄식은 없었다. 대신 인용 결정 직후 스마트폰 메신저를 통해 지인들과 결과를 공유하는 시민들이 눈에 띄었다.
시민 A 씨는 "헌재가 상식적인 판단을 내렸다고 본다"며 "기각됐다면 혼란이 더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변 시민들도 대체로 "예상된 결과"라는 반응을 보이며 인터뷰에는 말을 아꼈다.
한 중년 여성은 "탄핵은 됐지만, 이제 나라가 제대로 회복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버스터미널 내 카페에서 일하는 직원 B 씨는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는 환호성이 터졌는데, 오늘은 오히려 침묵이 깊었다"며 "그 만큼 국민들도 피로한 상태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파면 선고 시각에 맞춰 인천 계양구 계산동 일대도 긴장감이 맴돌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역구 사무실 인근에는 경찰 병력이 배치돼 만일의 상황에 대비했다.
근처 카페에서는 한 가족이 각자의 스마트폰으로 생중계를 지켜보다 "이렇게 돼야지"라는 말을 나눴다. 남편 이남옥 씨(52)는 "두 번째 대통령 탄핵이란 현실이 부끄럽다"며 "민주주의가 바로 서기 위한 값비싼 교훈"이라고 말했다.
인근에서 담배를 피우던 회사원 김현기 씨(가명,40)는 "대통령이 없는 상황에서 기업 총수들이 트럼프를 찾는 건 기형적"이라며 "새로운 리더십이 절실한 때"라고 말했다. 곁에 있던 예비역 청년 박희준 씨(가명, 23)는 "복무 중에도 계엄령은 말이 안 된다고 느꼈다"며 "헌재의 결정이 국민적 상식에 부합했다"고 말했다.

시민사회의 반응은 한층 더 강경했다. 인천시민단체 '인천평화복지연대(인천평복)'는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헌재의 탄핵 인용은 광장을 지킨 시민들의 승리"라고 평가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즉각 국민 앞에 석고대죄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검찰은 12·3 불법 계엄으로 헌정 질서를 무너뜨리고 민생을 파탄시켰다"며 "윤상현 의원을 포함한 내란 동조 세력을 청산하고 국민의힘을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상현 퇴출, 유정복 시장 심판, 사회대개혁 실현을 위해 행동에 나서겠다"고 밝히며, 조기 대선을 겨냥해 "내란정당 시민심판 운동"을 시작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날 헌법재판소는 오전 11시 선고를 시작해 약 22분 만에 윤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했다. 재판관 8명 전원 일치 결정을 했다. 이는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123일 만의 결론이다.
onething@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