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금준혁 기자 =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20일 '2035 NDC 자동차 부문 대응 방안'을 주제로 자동차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친환경차분과 전문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1년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합의에 따라 한국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5년마다 제출해야 하는데, 환경부는 2035년까지의 NDC를 올해 하반기에 제출할 예정이다.
다만 자동차 업계에서는 2년 연속 전기차 판매량이 감소하는 캐즘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2030년 무공해차 보급 목표 달성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30년 수송부문 감축목표는 2018년 배출량 대비 37.8%를 감축한 3710만톤이다. 이 중 전기차 420만대, 수소차 30만대 보급으로 수송부문 전체 감축목표의 80%에 달하는 2970만톤을 줄여야 한다.
윤경선 KAMA 상무는 "작년 전기차 판매가 14만 6000대인 상황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60만~70만대 판매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수송 분야의 다양한 감축 수단을 발굴해 감축목표의 후퇴 없이 2030년 친환경 차 보급 목표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rma1921k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