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유진 기자 = 올해부터 연간 2조 원이 넘는 대학 재정 지원 권한이 지방자치단체로 이관된다. 전국 17개 모든 시·도 지역에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라이즈'(RISE)를 통해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인재양성-취업-정주'에 이르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간다.
교육부는 10일 오전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주요 현안 해법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2025년 주요 업무보고를 진행했다.
교육부는 라이즈 체계 전국 시행을 통해 유·초중등·고등교육의 질·산업 기반·정주 여건 등 지역 격차를 해소해 모든 지역의 균형 있는 성장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사업비는 국비 2조 10억 원에 지방비 매칭 20%까지 합해 약 2조 4000억 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올해 교육부가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교육 정책으로 라이즈를 꼽으며 "17개 지자체는 직접 수립한 '라이즈 5개년 계획'에 따라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인재 정주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라이즈로 대학이 지역 혁신의 허브로서 역할을 하면 지역 격차가 해소되고 지역 소멸이 극복되는 긍정적인 변화가 시작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지역전략산업 중심 학사구조 개편, 대학-출연연(정부출연연구기관) 융합 특성화대학원 운영, 다양한 대학 통합과 연합모델 확산 등 글로컬대학 혁신 모델 제도화와 확산에 힘쓴다.
또 수도권과 지방 간 고등교육 경쟁력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사립대학 구조개선법을 제정해 사립대학 재정진단·경영자문을 통한 학과 구조조정, 소규모 특수목적화, 지역 특성화를 추진한다.
교육부는 라이즈 체계와 함께 7개 광역 지자체, 83개 기초 지자체가 참여하는 교육발전특구 56곳을 중심으로 교육 여건을 개선해 지역의 우수 인재 양성도 적극 뒷받침한다. 이를 위해 '교육발전특구의 지정과 운영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한다.
교원·학교시설 등의 재배치와 정책자원 집중을 통해 인구감소 지역 학교를 적정 규모화하고 지역주민 활용도가 높은 학교복합시설도 추가로 설치한다.
인공지능‧디지털(AID) 선도대학 100곳을 지정해 대학이 성인 맞춤형 AI·디지털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성인이 원하는 대학에서 재교육·향상교육을 받도록 운영한다.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분야에 디지털·노인 분야를 올해부터 신설해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소득층·장애인에 대한 평생학습 지원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대학생 1인-평생학습 1계좌'를 고용노동부 '국민내일배움카드'와 연계해 대학생의 사회 진출 전 미래 직업 능력개발을 지원한다.

rea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