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트럼프발 관세전쟁 등 경제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경제 전문가'로 불리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대응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한 권한대행은 4월 초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 총수와의 회동을 추진하고 있다. 회의 일시와 장소, 참석자 등 구체적인 일정은 현재 조율 중이다.
회동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도입 발표를 예고한 4월 2일 직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한 권한대행은 총수들로부터 상호관세에 대한 대응방안 등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직면한 통상·경제 현안을 경청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 권한대행은 대외 환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제 현안을 직접 챙기기 위해 '경제부총리 주재 대외경제현안 간담회'를 '권한대행 주재 경제안보전략TF'로 격상시켜 운영하기로 한 바 있다.
이번 회동도 민관이 힘을 합쳐 통상 현안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의 일환으로 알려졌다.
한 권한대행은 지난 27일에도 경제 6단체장과 만나 가열화하는 '트럼프발 관세전쟁'에 대해 "정부로서는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민간과 경제단체와 힘을 합쳐 해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는 한 권한대행의 이런 움직임에 대해 기대감이 크다.
우리나라는 미국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20개국 중 자국에 '무역적자를 안기는' 나라로 분류되면서 상호관세 부과가 유력한 국가 중 하나다.
정부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있던 시기에 정상외교에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 '미국통'이자 '국무총리' 신분인 한 권한대행의 복귀로 숨통이 트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외교부도 한 권한대행이 직무에 복귀한 이후 "한미 양국은 고위급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고 실무진 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직접 소통을 위한 스텝을 밟아나가는 중"이라며 "우리나라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대외 환경에 의한 경제 문제뿐만 아니라 '이사의 충실의무를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상법 개정안 처리 문제에 대해서도 고심하고 있다.
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의 처리시한은 4월 5일로, 한 권한대행은 이때까지 법안을 공포하거나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
한 권한대행은 재계와 금융당국, 상법 주무부처인 법무부 등 각계 의견을 청취하면서 처리 방안에 대해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권한대행은 지난 24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남은 기간 제가 내릴 모든 판단의 기준을 대한민국 산업과 미래세대의 이익에 두겠다"고 한 만큼 여러 경제 현안 해결에 있어 이러한 원칙을 중시할 것으로 보인다.
lgir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