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헌법재판관 임명권' 대야 강공 신고식…얼굴 붉힌 상견례

여야 원내대표 첫 만남서 "내란 수괴" "예의 아냐" 신경전
권성동 "한 대행, 헌법재판관 임명 권한 없다" 선제 포문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 권성동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 (공동취재) 2024.12.17/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 권성동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 (공동취재) 2024.12.17/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서울=뉴스1) 원태성 박기범 김경민 신윤하 임윤지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권한을 두고 신경전을 벌인 여야 원내대표는 17일 첫 상견례에서도 12.3 비상계엄 사태 책임 공방으로 얼굴을 붉혔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 회동을 가졌다.

박 원내대표는 모두발언에서 "내란 사태 국조특위를 신속하게 개시해야 한다"며 "내란 수괴 윤석열 대통령에게 동조했던 국민의힘이 조금이라도 국민 앞에 죄를 씻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헌법재판소 재판관 인청특위 구성을 서둘러야 한다"며 "권 원내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결정 전인 2017년 2월에 탄핵 심판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빨리 결정돼야 국정이 안정되고 시간을 끌면 그만큼 나라도 불안정해진다고 하셨다. 저도 같은 말씀 드린다. 서둘러 달라"고 했다.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제안한 국정협의체에 대해 한덕수 권한대행이 이미 적극 참여할 것을 선언했다"며 "국민의힘도 즉각 참여할 것을 촉구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18일부터 열리는 임시국회에서 민생 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다뤄야 한다"며 "추경 편성을 비롯해서 얼어붙은 서민 경제를 살리는데, 국회가 힘을 모을 때"라고 했다.

또한 "엄중한 시기임을 고려해 국무위원이 출석하는 대정부질문을 제안한다"며 "또한 모든 상임위를 풀가동해 민생 입법을 신속히 처리할 것을 제안한다"고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의 공세적 발언에 권 권한대행은 강경 발언으로 맞불을 놨다.

권 권한대행은 "제가 원내대표에 취임한 이후에 처음으로 민주당 원내대표를 뵙는 자리인데 일종의 상견례 자리에서 정치 공세로 일관하는 민주당의 원내대표 모습을 보면서 씁쓸함을 금할 길이 없다"며 "새로 취임한 원내대표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는 말씀 먼저 드리겠다"고 힐난했다.

이어 "대통령 탄핵 이전에 야당인 민주당이 오로지 이재명 대표의 범죄 사실을 덮기 위해서 국회의 입법권을 있는 대로 남용해서 탄핵소추를 남발하고 특검을 남발하고 예산안을 일방적으로 삭감하지 아니했다면 훨씬 더 아름다운 대한민국, 대화가 통하는 대한민국, 상생하는 대한민국이 됐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상견례 자리라서 민주당이 주장한 것에 대해서 이 정도 반박하고 나머지 반박은 기자를 상대로 따로 하겠다, 앞으로"라며 "거대 야당, 여의도 집권당인 민주당의 하해와 같은 아량을 바란다"고 비꼬았다.

본문 이미지 -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왼쪽)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양당 원내대표 회동에 참석해 우원식 국회의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공동취재)2024.12.17/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왼쪽)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양당 원내대표 회동에 참석해 우원식 국회의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공동취재)2024.12.17/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여야 두 원내 수장은 이날 오전 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권한을 두고 각을 세운 바 있다.

권 권한대행은 원내대책회의에서 "대통령 권한대행은 대통령 궐위 시에는 헌법재판관을 임명할 수 있지만, 대통령 직무 정지 시에는 임명할 수 없다"며 "한 권한대행은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 전까지 헌법재판관을 임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거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도 탄핵소추안이 헌법재판소에서 최종 인용된 후에 대법원이 추천한 이선애 헌법재판관을 임명한 전례가 있다"면서 "당시 민주당은 황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권 행사는 민주주의 훼손이라고 지적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 원내대표는 "헌법 제111조 2항에 따르면 재판관 중 3인은 국회에서, 3인은 대법원에서 지명하는 자를 임명하게 돼 있다"며 "현재 공석인 국회 추천 몫 3인의 헌법재판관 임명을 빠르게 진행해 탄핵 심판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겠다"고 받아쳤다.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도 "민심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당리당략과 개인 이익만을 앞세우는 추한 정치행태"라고 가세했다.

민주당은 오는 23~24일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를 열고 30일 본회의에서 임명안 통과를 강행할 계획이다.

kha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