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뉴스1) 강미영 한송학 기자 = 대형 산불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경남 산청·하동군이 피해 주민을 일상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대책 논의에 나섰다.
현재 산청 대피소에 머물고 있는 이재민은 주거지가 전소한 중태·외공·자양마을 주민 등 14세대, 24명이다.
이들은 오랜 대피소 생활로 불편한 잠자리, 소음, 사생활 침해 등을 겪은 데다 갑작스럽게 기온이 떨어지면서 29일부터 한국선비문화연구원 숙소에서 머물고 있다.
주불 진화가 완료되면서 수백 명의 이재민이 그리운 집으로 돌아갔지만, 남은 이재민들은 막막한 심정뿐이다.
갑작스러운 화마로 간신히 몸만 빠져나온 중태마을 신모 씨(63)도 마찬가지다. 그는 집이 불 탄 22일부터 열흘째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신 씨는 "처음에는 살던 집까지 모두 타버리면서 무섭고 망연자실한 심정 뿐이었다"며 "다행히 산청군에서 임시 거처를 마련해주고 심리 지원도 하고 있어 안정을 조금씩 찾고 있다"고 털어놨다.
산청군은 범정부 산불 피해자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해 경남합동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주택 피해 가구에는 임시조립주택을 통해 임시 주거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주거비는 주택 전파·반파·세입자 보조 등으로 나눠 지원할 계획이다.
민가 피해가 없는 하동군은 산불 재해 대피 명령을 모두 해제하고 남은 이재민들을 귀가시켰다.
하동군 관계자는 "이날 오전 위태·고암마을 중심으로 열화상드론을 촬영한 결과 산불 재발 이상징후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이재민 귀가는 이뤄졌지만 지속적인 잔불 정리와 뒷불 감시 활동은 병행한다"고 말했다.

myk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