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경북=뉴스1) 박민석 한송학 이재춘 최창호 이성덕 신성훈 기자 =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 일주일 넘게 이어지며 큰 상처를 남기고 있는 가운데 당국이 막바지 야간 진화 작업에 들어갔다.
29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경남 산청 산불은 산림청 가용 자원과 군 장병 등을 투입해 진화율 99%까지 진화 작업이 진척됐다.
다만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지상 인력 투입에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진화율 1%를 남겨 놓고 야간작업으로 전환돼 아쉬움이 크다.
전날 오후 주불 진화를 마친 경북의 경우 의성과 안동, 청송, 영양에서 밤사이 크고 작은 잔불이 일어나 긴장 속에서 잔불 정리에 나서고 있다.

산림청이 경남 산청 산불 진화 1%를 남겨두고 29일 낮 동안 지상과 공중에서 총력전을 벌였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진화율은 99%, 잔여 화선은 400m에 불과하다.
산림당국은 이날 일출과 동시에 헬기 55대를 투입해 산청 산불 현장에서 진화 작업을 벌였다.
산청 산불 현장은 험준한 산악 지형이 많아 지상 인력 투입에 한계가 있다. 두꺼운 낙엽층 등으로 진화의 어려움을 겪어와 헬기를 대거 투입해 진화에 나섰다.
당국은 낮에는 헬기로 주불 진화에 주력했다. 일몰 후에는 공중진화대와 특수진화대를 투입해 산불 확산 방지에 주력할 계획이다.
당국은 진화 장비 201대, 인력 996명을 야간작업에 투입해 남은 400m 화선 제거와 재발화 방지, 잔불 정리, 뒷불 감시 등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주불 진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진화율 99% 상황에서 이날 오후 4시께 산불 현장에 비가 내리고 지리산에는 3~4m의 눈이 내렸지만 주불 진화에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군은 이날 밤사이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는 등 추위가 예상돼 이재민 대피소를 한국선비문화연구원으로 일원화했다.

전날 오후 주불 진화를 마친 경북에서는 크고 작은 잔불이 이어져 당국이 대응에 나서고 있다.
경북도에 따르면 밤사이 의성, 안동, 청송, 영양에서 부분적으로 크고 작은 잔불이 발생했다. 당국은 오전 7시부터 헬기 30대를 투입하고, 인력 2000여명을 투입해 잔불 진화 작업을 벌였다.
경북지역 산불은 전날부터 내린 산발적인 소량의 비 덕분에 진화 작업의 속도가 붙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산불로 인한 경북지역 피해도 집계되고 있다.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26명이 숨졌다. 전날 오후 영양군 석보면 화매리에 사는 60대 남성 A씨가 병원에서 치료 중 숨지면서 사망자는 26명으로 늘었다.
지난 22일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로 지금까지 영덕에서 9명, 영양 7명, 안동과 청송 각 4명, 의성 2명 등 헬기 조종사 고 박현우 씨를 포함해 모두 26명이 숨졌다.
이날 오후 현재 경북지역의 산불로 인한 피해 영향 구역은 4만4000㏊로 서울 여의도(290㏊)의 151배에 달하며, 지역별로 의성 1만2821㏊, 안동 9896㏊, 청송 9320㏊, 영덕 8050㏊, 영양 5070㏊로 집계됐다.
pms710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