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열풍에도 대기업 근속연수 늘었다…기아, 21.8년으로 1위

100대 기업 평균 근속연수 14.03년…2020년 대비 0.48년 증가
KT·SK인선석유화학 '20년'…근속 최단 기업 3.2년 두산밥캣

본문 이미지 - (자료제공 = CEO스코어)
(자료제공 = CEO스코어)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가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2030세대의 활발한 이직과 불황에 따른 희망퇴직 등으로 근속기간이 짧아지고 있다는 인식과는 정반대 결과다.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매출액 상위 100개 기업 중 최근 5년 동안 직원들의 근속연수를 공시한 80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는 14.03년으로 4년 전인 2020년(13.55년)보다 0.48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는 2020년 13.55년, 2021년 13.70년, 2022년 13.63년, 2023년 13.91년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여성 직원의 근속연수가 4년 새 1.56년 늘면서 전체 평균 상승세를 이끌었다. 반면, 남성은 같은 기간 14.29년에서 14.41년으로 0.12년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남녀 근속연수 격차는 2.91년에서 1.47년으로 절반 가까이 좁혀졌다.

기업별로는 기아 직원들의 근속연수가 21.80년으로 가장 길었다. 그 뒤를 이어 KT(20.50년), SK인천석유화학(20.00년), 한국씨티은행(18.84년), SK에너지(18.68년), 한온시스템(18.64년), 대한항공(18.40년), SK지오센트릭(18.00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17.94년), 에스오일(17.80년) 순으로 근무 기간이 길었다.

반면, 두산밥캣은 근속연수가 3.20년으로 직원들의 근무 기간이 가장 짧았다. 이어 미래에셋캐피탈(4.20년), HD현대중공업(4.30년), 키움증권(6.58년), 다우기술(6.88년), GS리테일(7.20년), 네이버(7.40년), 메리츠증권(7.40년), LG에너지솔루션(7.75년), LG이노텍(8.00년) 순으로 근속연수가 짧았다. 다만 HD현대중공업은 분할 설립일인 2019년 6월을 기준으로 공시돼 근속연수가 비교적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수 증가 폭이 가장 큰 곳은 SK네트웍스로 2020년 9.05년에서 2024년 13.92년으로 4.87년 늘었다. 이외에 HD현대중공업(4.30년·3.40년↑), 이마트(13.10년·3.20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0.50년·3.00년↑), 삼성SDS(16.70년·2.80년↑), 삼성물산(14.70년·2.60년↑), 미래에셋증권(15.78년·2.41년↑), 롯데쇼핑(12.40년·2.40년↑), 현대엔지니어링(10.30년·2.30년↑), LG디스플레이(13.80년·2.20년↑) 등도 근속연수가 크게 늘었다.

현대자동차는 같은 기간 18.80년에서 15.80년으로 근속연수가 3.00년 줄며 감소폭이 가장 컸다. 또한 SK에너지(18.68년·2.31년↓), 고려아연(12.58년·2.17년↓), 한화생명(16.40년·1.70년↓), SK지오센트릭(18.00년·1.63년↓), KG케미칼(12.40년·1.30년↓), KT(20.50년·1.10년↓), 현대모비스(12.80년·1.00년↓), 두산에너빌리티(13.00년·0.98년↓), 현대위아(13.10년·0.60년↓)도 근속연수가 줄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평균 근속연수'는 사업 부문별 또는 성별 평균 근속연수와 해당 직원 수를 곱해 총 근속연수를 산출한 후, 이를 총직원 수로 나눈 '1인당 평균 근속연수'다. 평균 근속연수는 기업이 사업보고서를 통해 공시한 전체 평균 근속연수와 차이 날 수 있다고 CEO스코어는 설명했다.

goodday@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