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윤수희 기자 =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회계 부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회계 심사를 강제성이 있는 회계 감리로 전환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금감원은 피해자 변제 계획의 불확실성을 지적하고 신용등급 하락을 미리 인지한 뒤 회사채를 발행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홈플러스·MBK에 대한 불신은 날이 갈수록 커지는 분위기다.
함용일 금감원 부원장은 1일 기자간담회에서 "그간 MBK와 홈플러스의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금감원이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한 내용은 △회계 처리 기준을 위반했을 개연성 △단기신용등급 하락을 2월 28일 이전에 인지하고 기업회생을 미리 준비했을 가능성 △변제 계획의 불확실성 등이다.
신용등급 하락 사실을 알고도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했다면 사기적 부정거래로 형사처벌까지 가능하다는 게 금감원의 입장이다.
아직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금감원의 이번 발표가 그동안 홈플러스와 MBK 측의 해명과 '정반대'라는 점에서 신뢰도 하락은 피할 수 없게 됐다.
금감원은 지난달 21일 홈플러스가 투자자 피해 방지 위해 매입채무유동화 채권(ABSTB)을 상거래 채권으로 취급해 전액 변제한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즉시 전액 변제하는 것처럼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회생 계획안에 반영한다고 취지로, 시장과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했다"고 비판했다.
개인투자자에게 판매된 홈플러스 단기채권 잔액은 2000억 원이 넘고, 일반법인에 팔린 금액까지 합하면 피해 규모는 6000억 원에 육박한다.

홈플러스 측은 "금감원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면서도 "기존 해명과 변한 것은 없다"고 일축했다.
홈플러스가 사태 해결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는 사이 소비자들의 우려는 실적으로 나타났다.
홈플러스는 현금 확보를 위해 2월 28일부터 3월 30일까지 '홈플런' 할인 행사를 한 달 내내 진행했지만, 누적 매출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에 그쳤다. 작년 창립 기념 할인행사 기간은 3월 1일부터 27일까지로 올해보다 기간도 짧았다.
홈플러스의 회생 신청으로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는 등 피해를 입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민주노총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 지부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MBK파트너스의 선제적인 기습 기업회생 신청으로 가장 먼저 협력업체 노동자들이 타격을 받았다"며 "상품 입고를 중단하고 노동자들에게 일방적으로 휴직과 권고사직을 통보하고 있다"고 했다.
일각에선 "홈플러스와 MBK가 신뢰 회복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내놓고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사재 출연 약속을 신속하게 이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김 회장은 지난달 16일 "회생절차와 관련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소상공인 결제대금 지급을 위해 '사재 출연'을 약속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진전없는 상황이다.
ys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