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 장세, 주식 줄이고 채권 늘려야…내수株로 대응"[센터장 긴급진단]②

"주식 포트폴리오서 기업 재무 안정성·펀더멘털 중요"
"내수, 非미국 수출株로 대응…美 관세 무풍 방산·인터넷 등도"

코스피 지수가 장중 2400대 아래로 떨어진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피가 장중 2400대 아래로 떨어진 건 지난 1월 2일 이후 처음이다. 2025.4.7/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코스피 지수가 장중 2400대 아래로 떨어진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피가 장중 2400대 아래로 떨어진 건 지난 1월 2일 이후 처음이다. 2025.4.7/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강수련 문혜원 박승희 기자 = 트럼프발 '블랙먼데이'가 8개월 만에 다시 찾아왔다. 코스피가 5% 이상 빠지면서 업종을 불문하고 줄줄이 하락 중이다.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은 7일 국내외 주식 비중을 줄이는 등 보수적으로 접근하되, 펀더멘털과 재무안정성이 좋은 기업들을 위주로 봐야한다고 조언했다. 업종별로는 관세 영향을 덜 받는 방산, 인터넷/소프트웨어, 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주식 비중 줄이고 채권 비중 늘려야…재무안정성도 중요

주식 변동성이 높아진 만큼 금리 인하 시 유리해지는 채권의 비중을 늘리라는 조언이 나왔다. 또 주식에서는 경기와 상관없이 사람들이 소비하는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등 경기방어주로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김상훈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주식과 채권에 분산 투자했다면 주식에서 손실이 나도 금리가 내려가면서 채권에서 만회할 수 있다"며 "주식을 줄이고 채권으로 자산배분을 더 해야 한다"고 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괜찮은 종목도, 불안한 종목도 모두 밀리고 있어 재무 안정성을 가장 우선적으로 봐야 한다"며 "한국에 우호적인 환경이 아닌 만큼 실적보다는 디폴트 등 재무 리스크 없는 종목을 팔지 말고 버텨야 한다"고 했다.

본문 이미지 -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여의도 증권가. 2024.1.24/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여의도 증권가. 2024.1.24/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美 관세영향 피해 내수주·경기방어주에 집중해야

현재 트럼프발 관세리스크로 증시 변동성이 커진 만큼 자동차, 반도체 등 미국 수출품보다는 내수주 등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조언도 있다.

김상훈 센터장은 "미국 주식의 경우 경기방어주로 리밸런싱해야 한다"며 "국내 반도체 종목은 반도체 관세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도 "미국의 관세와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가 나오면서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내수주, 미국 수출 비중이 낮고 중국 등 수출 비중이 높은 섹터를 중심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각에서는 미국 주식의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며, 펀더멘탈이 좋은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협상, 금리인하 기대감, 경기부양 노력 등이 반영되면 미국 주식 반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리세션을 피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기대감이 조성되면 (미국 주식) 리바운딩 가능성이 높다"며 "관세에 덜 민감한 방산, 인터넷/소프트웨어, 엔터테인먼트 등에서 펀더멘털이 좋은 기업을 중심으로 종목 베이스로 접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training@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