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서울=뉴스1) 류정민 특파원 강민경 이창규 기자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21일(현지시간) 첫 화상통화부터 관세 등 양국의 경제 및 통상 현안을 논의하며 팽팽한 기싸움을 벌였다.
중국 관영 언론들에 따르면 허 부총리는 베센트 장관에게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와 무역 제한에 엄중한 우려를 표명했다.
또 양측은 두 나라의 경제 관계의 중요한 사안에 관해 심층적으로 의견을 교환했으며 상호 관심 사안에 관해 계속 소통하기로 합의했다. 양자 간 경제 및 무역 관계의 중요성도 인식했다.
허 부총리는 중국 정부의 대미 무역 협상을 이끄는 핵심 경제 관리다.
미국 재무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베센트 장관이 이날 오전 통화에서 허리펑 부총리에 중국의 마약 퇴치 노력과 경제 불균형, 불공정한 정책에 중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베센트 장관은 미국 경제, 노동자, 그리고 국가 안보를 보호하는 무역 및 정책을 추구한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의지를 강조했다.
이번 화상 통화는 미중 무역 갈등이 고조된 가운데 양국이 관계 관리를 추진하면서 이뤄졌다.
트럼프는 이달 초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의 미국 유입을 이유로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은 펜타닐 제조에 필요한 화학 원료가 중국을 거쳐 멕시코 등을 통해 유입된다고 보고 있다.
앞서 베센트 장관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측 카운터파트와의 전화 통화를 예고하며 "협력하고 싶다는 의사와 함께 중국에서 들어오는 펜타닐 원료의 유입을 막고 싶다는 뜻을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 측에 중국이 경제의 균형을 재조정하고 성장을 위해 투자와 수출에 의존하는 대신 내수 소비에 더 의존해야 한다고 말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끄는 중국은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최대 15% 관세를 부과하며 보복 대응에 나섰으며 구글을 포함한 여러 미국 대기업에 대한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2024년 미국의 대중국 상품 무역 적자는 2954억 달러로,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37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2018년의 4182억 달러의 최고치보다는 감소한 수준이다.
그러나 중국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부과를 피해 수출을 서두른 영향 등으로 작년 대중국 상품 무역 적자는 2023년 대비로는 163억 달러 증가했다.
전임 미 재무장관인 재닛 옐런은 최근 몇 차례 베센트와 만나 중국의 국가 주도 경제 정책에 대해 비슷한 불만을 제기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옐런은 지난해 중국을 방문했을 때 이러한 정책이 미국과 다른 시장 경제 국가들의 기업 생존을 위협하는 과잉 생산 능력을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 경고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중국산 전기차, 반도체, 태양광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으로 이어졌다.
당시에도 중국 관리들은 미국의 과잉 생산 능력 주장을 결코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중국의 전기차와 다른 주요 산업이 단순히 더 경쟁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ryupd0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