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인 4일 3호선 안국역은 첫차부터 이용할 수 없도록 전면 폐쇄한다. 인파 밀집이 예상되는 주요 역사 14곳은 출입구 통제와 무정차 통과 조치가 유동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2일 서울교통공사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안전 대책을 발표했다.
3호선 안국역은 지난 1일부터 출입구 폐쇄 조치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탄핵 심판 선고일에는 첫차부터 열차 무정차 통과와 역사 전면 폐쇄 조치를 시행한다.
안국역과 인접한 종로3가역 4번과 5번 출입구도 선고일 첫차부터 전면 폐쇄한다.
안국역 출입구 주변 지면형 환기구에는 추락 예방을 위한 안전 펜스를 설치한다. 안국역은 탄핵심판 선고일 영업 종료 시까지 폐쇄 예정이지만 상황에 따라 이용 재개를 검토할 방침이다.
역사 혼잡 완화를 위해 2·3·5·6호선은 각 2대씩, 총 8대의 비상대기열차와 임시열차를 편성해 상황에 따라 투입할 방침이다.
공사는 인파 밀집이 예상되는 15개 역사 △1호선 종각역 △1·2호선 시청역 △1·3·5호선 종로3가역 △2호선 을지로입구역 △3호선 안국역·경복궁역 △5호선 광화문역·여의도역·여의나루역 △6호선 한강진역·이태원역·버티고개역에 평소 대비 258명 많은 350명의 안전 인력을 투입한다.
이 밖에도 92명의 예비 지원 인력을 대기시켜 긴급상황 발생 시 해당 역사에 즉시 투입할 계획이다.
안국역 외 한강진역을 포함한 14개 역사는 상황에 맞춰 안전대책을 시행한다. 안전사고 우려 시 무정차 통과를 시행하며 필요하다면 경찰 지원을 받아 출입구 차단 및 통제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이날 안국역, 종로3가역, 광화문역을 찾아 현장을 점검했다. 백 사장은 "역사 폐쇄 및 출입구 통제 등 지하철 이용에 불편이 발생할 수 있겠지만 시민 여러분께서도 안전을 위해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b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