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권형진 교육전문기자 = 교육부는 1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영유아기 사교육, 정말 필요한가?'를 주제로 직원 교육을 실시한다.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지난해 발표한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 책임연구원인 김은영 선임연구위원이 강연한다.
이번 교육은 최근 '4세 고시', '7세 고시'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영유아기 사교육이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영유아기 사교육의 필요성과 영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공교육 강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육아정책연구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영유아 사교육의 시작 연령은 낮아지고 비용은 증가하는 추세다. 반면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단기적으로 혹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전반적인 언어능력, 문제해결력과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도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은 학업 수행 능력에 효과가 없거나 미미했다.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등 사회 정서적 측면에서는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이 관찰됐다. 아동의 지능지수, 가구소득, 부모 학력 등 다양한 변수를 통제해도 사교육의 독립적 효과는 없거나 미미했다.
강연에서 김 선임연구위원은 "영유아기 사교육 참여율이 높아지는 추세지만 단기·중장기적으로 실질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과도한 사교육은 놀이와 휴식 시간을 감소시켜 오히려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양육·교육 방법 등에 관해 전문적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송출 등으로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jinn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