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국토교통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건설·부동산·교통 전 분야에 적용해 생산·안전성을 혁신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AI 기술이 국토교통 분야의 세계적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1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제11회 뉴스1 건설부동산포럼에서 문성요 국토부 기획조정실장은 AI를 활용한 국토교통 분야의 미래 청사진을 공개했다.
문 실장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전문 인력 감소와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기반 자동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건설현장의 휴머노이드 로봇 도입, 노후 건축물의 AI 드론 점검, 부동산 전세사기 예방 시스템 등 구체적인 계획을 설명했다.

특히 싱크홀 예방을 위한 AI 기술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국토부는 지하공간의 공동(空洞)을 AI가 자동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를 통해 지반 침하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신속한 보강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고위험 지역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지표투과레이더(GPR) 장비의 성능 고도화도 추진된다. 문 실장은 "지반침하 위험지도 제작과 관측망 구축을 통해 싱크홀 사고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AI 실시간 통역 서비스가 확대되며, 공지사항과 안전 지침 등을 120개 언어로 번역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부동산 분야에서는 전세사기 위험을 조기 경보하는 시스템을 테스트 중이며, 이상거래를 상시 모니터링해 85%의 사고를 사전에 탐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거자의 건강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는 맞춤형 케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도 AI가 적극 활용된다. 카메라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해 사각지대 보행자를 탐지하고 최적 주행 경로를 제공하며, 가상공간 시뮬레이션으로 사고 위험을 사전에 검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항공 분야에서는 AI가 항공기 외관 결함을 자동으로 탐지해 정비 효율을 높일 예정이다.

문 실장은 국내 AI 컴퓨팅 자원이 미국의 1% 수준에 불과하다며 자원 확보 필요성을 강조했다. 데이터 왜곡으로 인한 AI 할루시네이션(거짓·허위 답변) 문제 해결을 위해 공간정보·부동산 데이터 표준화를 추진하고 민간 협력 확대를 위해 과학기술혁신펀드 등 정책금융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문 실장은 "AI 기술이 국토교통 분야의 세계적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며 "데이터 인프라 구축부터 민간 협력까지 전방위 전략을 펼쳐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기업의 기술 고도화를 동시에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joyonghun@news1.kr